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가 18일 오후에 방한해서 우리측의 천영우 수석대표와 만날 예정입니다.
북핵 폐기를 위한 2.13합의 이행이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소식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이경미 기자>
Q> 먼저 힐 차관보의 방한 소식부터 자세히 전해주시죠.?
A> 네, 18일 오후 북핵 6자회담의 미국측 수석대표인 힐 차관보와 우리측 수석대표인 천영우 본부장이 만날 예정이라고 정부의 한 당국자가 밝혔습니다.
몽골 방문 일정을 마친 힐 차관보는 오전 베이징으로 건너가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협의를 마치는 대로 우리나라를 찾을 예정입니다.
때문에 힐 차관보의 방중 협의가 당초 일정보다 길어질 경우 방한 일정도 조정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힐 차관보가 예정대로 입국하면 천 본부장과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2.13합의의 조속한 이행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의견을 나눌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북한이 BDA 문제가 최종해결에 임박했다는 판단 아래 IAEA, 국제원자력기구 실무 대표단을 초청한만큼 BDA 문제 이후의 2.13 합의 이행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될 것이라고 밝혀 이같은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Q> 북한이 국제원자력기구 실무대표단을 초청했다고 했는데, 언제쯤 북한 방문이 이뤄질까요??
A> 북한의 초청을 받은 국제원자력기구 실무대표단은 이르면 오는 20일쯤 북한을 방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익명을 요구한 미국 외교 소식통들은 국제원자력기구가 18일 회의를 열고 실무대표단 북한 파견 문제를 논의한다면서 이틀이면 방북 실무준비를 마칠 수 있어 빠르면 20일쯤 실무대표단이 북한에 입국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에따라 IAEA 실무대표단이 북한을 방문하게되면 북핵 시설을 감시할 IAEA 감시단의 활동 범위와 권한을 북측과 협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이 핵 폐기를 위한 초기단계 이행조치를 실행하기 시작함에 따라 우리 정부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6자회담에서 합의한 내용에 근거해 18일부터 북한에 5만톤의 중유를 지원하기 위한 준비작업에 본격 돌입하게 됩니다.
다만 힐 차관보는 북한이 중유를 직접 받는 데까지는 아마 몇 주 정도 걸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힐 차관보는 또 19일 베이징으로 다시 가서 6자회담 재개 일정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혀 핵폐기 초기단계조치가 순조롭게 이행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