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중국의 이차전지 공급망 강화, 우리의 대응 방안은?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중국의 이차전지 공급망 강화, 우리의 대응 방안은?

등록일 : 2023.04.14

김용민 앵커>
흔히 배터리라고 부르는 이차전지는 반도체, 디스플레이와 함께 정보산업의 3대 핵심부품입니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산업인데요.
최근에는 중국과 미국 중심으로 패권 경쟁이 치열한데요.

윤세라 앵커>
이차전지 글로벌 공급망과 우리의 대응 방안과 관련해서 이야기 나눠봅니다.
산업연구원 해외산업실 조은교 부연구위원 나와계십니다.

(출연: 조은교 / 산업연구원 해외산업실 부연구위원 )

김용민 앵커>
미국과 중국이 이차 전지 공급망을 두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데, 미국과 중국의 이차전지 시장 규모, 어느 정도인가요?

윤세라 앵커>
중국이 이차전지 분야에서 이렇게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할 수 있게 된 배경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그렇다면 현재, 중국이 이차전지 글로벌 공급망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어느 정도인가요?

윤세라 앵커>
이렇게 글로벌 시장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기술력이 중요할 텐데요.
중국 내 이차전지 기술 전략 어떻게 분석하고 계시나요?

김용민 앵커>
앞서도 말씀 나눴듯이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이 중국을 대응하기 위한 것인데,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에서는 이차전지 글로벌 확장 전략을 어떻게 짜고 있나요?

윤세라 앵커>
최근 들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이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수를 걸고 있는데요.
우리나라 전기차도 그렇고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김용민 앵커>
그렇다면, 가장 중요한 건 이러한 중국의 이차전지 글로벌 공급망 강화 전략에 대응해서 우리는 과연 어떻게 방안을 마련해야 하나입니다.
어떤 점을 눈여겨보면서 대응해야 할까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산업연구원 해외산업실 조은교 부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