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산업재해 보상보험법 44년만에 전면개정

노동포커스

산업재해 보상보험법 44년만에 전면개정

등록일 : 2007.06.01

산재보험법이 44년 만에 새 옷을 입습니다.

이르면 내년 7월부터 보험설계사와 학습지교사 등의 특수형태 근로종사자들도 산재보험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또, 산재 환자도 서울대 병원을 비롯한 대형 종합전문병원에서 치료 받을 수 있습니다.

이승아 기자>

지난 2005년 1월, 오토바이로 배달을 하던 중 교통사고를 당한 장병수씨.

장씨는 그 사고로 허벅지 뼈가 으스러져 아직까지 휠체어 신셉니다.

그러나 장씨는 하루도 거르지 않고 물리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현행 산재보험제도는 적용 대상이나 보상 수준의 확대에만 급급했던 게 사실입니다.

반면, 요양이나 재활치료, 보험급여의 관리운영체계는 허술한 상황.

때문에 제도의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랐습니다.

이에 따라 `산업재해보상법`과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 징수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지난 29일, 국무회를 통과했습니다.

특히, 이번 산재보험법 전면 개편은 지난 64년 제도가 도입 된 이후 44년만입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보험설계사나 학습지교사와 같은 특수직종종사자의 경우도 내년 7월부터는 산재보험이 적용됩니다.

다만, 보험료는 사업주와 특수직종종사자가 절반씩 부담하도록 했습니다.

또, `종합전문요양기관 당연지정제`를 도입해 서울대병원이나 삼성서울병원 등의 대형병원에서도 산재환자를 치료하도록 의무화했습니다.

아울러 의료기관이 산재환자의 진료를 신청하는 현행 `신청 지정제`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이와 함께 보험급여 지급도 전면 개편됐습니다.

전체근로자 평균임금의 50% 미만을 받는 저소득 근로자에 대한 휴업급여는 현행 70%에서 90%로 상향 조정됐습니다.

반면, 고령자 휴업급여는 현행 65세 이후 5%포인트 감액하던 기존의 방식을 변경해 61~65세까지 매년 4%p씩 하향조정하고, 65세 이후에는 50%가 지급됩니다.

개정안에는 또, 산재보험법에서 진찰, 약제, 처지 등으로 규정된 요양급여 범위에 재활치료가 추가됐습니다.

아울러 의료기관이 산재환자 진료비를 허위 또는 부당청구 시 과징금을 부과하는 규정도 포함됐습니다.

이번 개정안의 국회 심의가 6월중으로 완료되면 하위법령 준비과정을 거쳐 내년 7월부터 시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