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2024.6.4~6.5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윤석열정부 출범 2주년···청년 일자리 지원 성과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윤석열정부 출범 2주년···청년 일자리 지원 성과는?

등록일 : 2024.05.16 11:33

김용민 앵커>
우리나라 20대 청년들이 가장 많이 하는 고민이 아무래도 '취업'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오늘은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을 맞아 현재 우리나라 고용 현황과 청년 일자리 정책의 성과와 과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강민지 앵커>
자세한 내용,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한국노동연구원 김유빈 선임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김유빈 /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용민 앵커>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우선, 현재 우리나라 고용 현황부터 설명 부탁드립니다.

강민지 앵커>
작년 우리나라 실업률은 2% 정도로 낮은 수준을 보였는데요.
문제는 60세 이상 일자리는 늘었지만 30세 미만 청년 취업자는 오히려 감소했다고 하는데요.
원인은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김용민 앵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청년들이 노동시장에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요.
특히, 청년들에게 재학 단계부터 맞춤형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죠?

강민지 앵커>
반대로 계속된 취업 실패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을 위한 지원도 이뤄지고 있는데요.
올해 확대되는 사업이 많다고요?

김용민 앵커>
그런데 청년 실업의 큰 이유 중 하나가 고용자와 청년 간의 수요가 불일치하기 때문이다...라는 이야기가 있는데요.
직무역량을 중시하는 채용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어떤 지원이 이뤄지고 있나요?

강민지 앵커>
지난해 청년정책 중 눈에 띄는 부분이 기업과 정부가 함께 청년 고용지원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한 부분인데요.
이 부분도 설명해 주신다면요?

김용민 앵커>
디지털 기술이 필수인 시대에 기업에서도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이제는 디지털 역량을 키우는 것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는데요.
어디서 어떤 교육을 받아야 할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강의부터 교육비까지 지원해주는 사업이 있다고요?

강민지 앵커>
한편, 올해부터 국민취업지원제도에 참여할 수 있는 청년 연령이 확대된다고 하는데요.
이 외에 달라지는 내용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김용민 앵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정부에서 추진하는 청년 일자리 정책을 청년세대가 체감할 수 있어야 할 텐데요.
정책 실효성을 높이고, 실질적인 지원 정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요?

강민지 앵커>
정부가 직접 나서서 다양한 일자리 창출 정책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올해 취업률이 다소 높아지지 않을까 기대가 되는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한국노동연구원 김유빈 선임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