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수로기구, IHO 총회에서 동해 명칭 표기에 관해 우리에게 유리한 제안이 나왔다는 소식 전해드렸었습니다.
그러나 일본이 반발하고 있어 2년 뒤 열리는 총회에서 이 문제가 다시 불거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경미 기자>
`한.일 양국간 분쟁으로 유일하게 빈칸으로 남아있는 동해부분을 뺀 채 발간하자`
윈포드 윌리엄스 국제수로기구 총회 의장의 이 같은 제안은 일단 일본의 일본해 단독표기 의도를 막았다는 점에서 한국측에 유리한 방향입니다.
하지만 일본이 반발하고 있어 이 제안은 당사자간 합의가능성이 적어보입니다.
따라서 2년 뒤인 2009년 열리는 총회에서 다시 불거질 공산이 컵니다.
우리나라는 차기 총회까지 외교력을 집중해 확실하게 일본해 단독표기를 막겠다는 계획입니다.
그러나 일본의 외교력도 만만치 않아 쉬운 싸움은 아닙니다.
실제로 일본은 지난 2002년에도 동해표기 부분을 삭제한 채 해도집 `해양과 바다의 경계` 4판 잠정판을 발간하자는 의장단의 표결 결정을 막강한 외교력을 동원해 한달만에 중단시킨 적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도 강한 의지를 보였습니다.
윤승용 청와대 홍보수석은 청와대브리핑에 올린 글을 통해 `제국주의 하에서 달성시킨 일본해 단독표기를 계속 유지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다`면서 이는 침략주의의 유산이라며 강하게 비난했습니다.
윤 홍보수석의 말처럼 국제수로기구가 `해양과 바다의 경계`라는 해도집을 발간한 것은 1921년입니다.
당시 일제 치하에 있던 우리나라는 이 기구에 참석할 수 없었고, 일본의 일방적인 주장대로 해도집 1판에서 처음 사용된 일본해 표기는 2판과 3판에서도 그대로 쓰였습니다.
그러나 2002년 해도집 4판 작성을 위해 열린 총회에서 우리나라는 일본해 단독 표기의 부당성을 알리며 동해. 일본해 병기를 요구했고, 이에대해 일본이 반대하며 팽팽히 맞서자 국제수로기구는 4판 발간을 보류하면서 이번 총회까지 오게 된 것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