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역간 정보 격차를 줄이는 취지에서 정보화마을 31곳을 추가로 선정했습니다.
앞으로는 단순한 선정에만 그치지 않고 부실 운영시 지정을 해제하는등 엄격하게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최고다 기자>
농어촌 지역의 정보화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경제 발전을 돕기위해서 2002년부터 시작된 정보화마을 사업.
도시에 비해 뒤 떨어지는 농어촌에 정보인프라를 구축해 전자상거래의 기반을 마련해 세계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사업입니다.
그러나 그동안 정보화마을에 대한 상시 관리체계가 미흡해 정보화마을이 당초의 계획만큼 활성화가 잘 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어왔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정보화마을의 효율성과 이용도를 높여 원래의 취지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하기 위해 엄격한 관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내년부터 매년 주민 정보화교육,참여도, PC활용도 등을 평가해 평가결과 하위 5%에 연속 2회, 또는 3년 이내 2회 이상 포함되는 마을을 관리 대상으로 정할 예정입니다.
관리대상이 된 마을은 행정자치부가 지원한 컨설팅 받은 후에도 운영이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 개선권고나 선정해제 등의 조치를 받게 됩니다.
정부는 또 전국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신청한 110개 마을 가운데 31곳을 정보화마을로 새로 지정됐습니다.
특히, 전체의 약 80%에 달하는 25개 지역은 농림부와 해양수산부, 농진청등이 지원하는 테마마을 이란 점이 눈길을 끕니다.
테마마을은 각 지역의 특성을 살려 관광상품화 한 곳으로 정보화마을과 결합된다면 지역경제에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올해 말까지 추가로 선정된 곳에 대한 정보화 마을이 조성되면 전국의 정보화 마을은 모두 337곳에 이르게 됩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