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말연시 앞두고 시작된 음주운전 집중 단속, 그 현장속으로~!
경찰은 음주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통상 12월부터 2개월 동안 펼쳤던 연말연시 음주단속을 올해는 11월부터 3개월간으로 확대 실시한다. 단속 효과를 높이기 위해 불시에 장소를 계속 옮기면서 실시하는 이동식 단속도 벌인다고 밝혔는데... 실제 음주단속 집중단속 현장을 통해 음주 운전자들의 행태 및 음주운전에 대한 운전자들의 인식 등을 취재해본다.
■ 재범률 높은 음주운전의 위험성 집중 조명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사람 10명 중 4,5명이 또 다시 음주운전을 저지른다는 조사결과가 나올만큼 음주운전은 재범률이 높은 범죄다. 도로위의 살인마라고 불리는 음주운전으로 인해 실제로 한 해 2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는데... 음주운전의 재범확률과 그 위험성을 심도 있게 들여다본다.
■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효과와 안정적 제도 시행을 위한 필수 요건은?
상습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방지 장치 부착을 의무화한 개정 도로교통법이 국회에서 통과돼 10월 25일부터 시행됐다. 5년 이내에 두 번 이상 음주운전 단속에 걸린 사람은 음주운전 방지장치를 단 차량에 한해 조건부 운전면허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최소 2년간의 음주운전 면허취소 결격 기간이 지난 2026년 10월 이후에서야 실제 장치를 부착한 운전자가 나올 전망이다.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운전자가 스스로 음주측정을 해야만 시동이 걸리는 기기로 미국·캐나다 등에서 이미 널리 상용화된 기술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유럽 표준을 모태로 장치 규격서의 안을 만들었고, 고시를 통해 조만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 음주운전 방지장치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와 안정적 시행을 위한 요건은 무엇인지 집중 조명해본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