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19일 4개 부처 장관급 인사를 단행했습니다.
임기말 국정 과제를 잘 마무리하기위해 실험적인 인물보다는 관리형인 내부 전문관료를 발탁했다는 평갑니다.
강동원 기자>
19일 단행된 부분개각은 한미 FTA 타결에 따른 업무의 연속성을 위해 소폭으로 이뤄졌습니다.
임기 말 국정 안정 등을 위해 부처별 전문성을 고려한 것도 특징입니다.
`이번 인사의 기본구상은 부처업무 전문가를 등용하여 임기 말 국정과제를 잘 마무리하고자 한 것입니다.`
해양수산부 장관에 내정된 강무현 전 해양부 차관과 문화관광부 장관에 내정된 김종민 한국관광공사 사장은 모두 해당 분야 전문가로 알려진 인물입니다.
특히 강무현 해수부 장관 내정자의 경우 노 대통령이 해양수산부 장관을 역임할 때 수산정책국장을 지내면서 수협 부실 문제를 해결해 노 대통령의 신임을 얻은 것이 이번 발탁 요인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종민 문화부 장관 내정자 역시 그동안 현장 예술인 출신들이 장관을 계속 맡았던 만큼, 행정경험이 풍부하고 능력이 검증된 관료 출신으로 가는 쪽으로 인사 방향이 잡혔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도 노 대통령과 주례회동에서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나 관광적자 해소 등을 종합적으로 추진할 사람이 필요하다며 한국관광공사 사장을 맡고 있는 김종민 내정자를 강력하게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법제.보훈처장 역시 내부 승진으로 가닥을 잡아 전문성의 인사원칙을 지켰습니다.
김정복 보훈처장 내정자의 경우에는 부산지방국세청장과 중부지방국세청장 등 국세청 요직을 지냈으며 남기명 법제처장 내정자도 매끄러운 일처리 등으로 노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격려를 하는 등 신망을 얻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개각은 해당 부처 업무에 정통한 내부 관료출신 전문가를 중용했다는 점에서 임기말 국정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자칫 느슨해질 수도 있는 관료 조직의 활성화를 꾀하겠다는 뜻이 담겼다는 분석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