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표단이 한미 관세 2차 기술협의를 위해 미국을 방문합니다.
김현지 앵커>
한미 양측 대표단은 균형무역과 비관세 조치 등 6개 분야를 중심으로 협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한미 관세 2차 기술협의를 위해 미국으로 향하는 우리 정부 대표단은 통상 대응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와 농림축산식품부, 국토교통부 등 실무급 담당자들로 꾸려졌습니다.
수석대표는 지난주 APEC 통상장관회의를 계기로 한국을 찾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 USTR(무역대표부) 대표 측과 업무 협의를 했던 산업부 장성길 통상정책국장입니다.
한미 통상당국은 당시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그리어 대표의 고위급 회담을 거쳐 미국에서 2차 기술협의를 열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2차 기술협의는 현지 시간 20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됩니다.
대표단은 미국 워싱턴 D.C.에서 2~3일간 머물며 실무협의 일정을 소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2차 기술협의는 본협상 테이블에 오를 세부 안건의 틀을 잡기 위한 절차입니다.
의제는 6개 분야로 압축됐습니다.
녹취> 안덕근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지난 16일)
"제2차 기술협의에서는 산업부와 관계부처로 구성된 대표단이 미국을 방문해 균형무역, 비관세 조치, 경제안보, 디지털 교역, 원산지, 상업적 고려 등 6개 분야를 중심으로 미국 정부와 본격적인 협의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균형무역 분야에선 미국의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한 양국 협력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관측됩니다.
비관세 조치의 경우 30개월 미만 소고기만 수입하도록 한 월령 제한 조치와 온라인 플랫폼 기업 독과점 규제를 의제로 다룰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또, 디지털 교역 부문에선 구글 정밀지도 반출 문제가 논의될 전망입니다.
이번 2차 실무협의는 대선 후 새 정부가 출범하기 전 열리는 사실상 마지막 대면 협의입니다.
새 정부 출범 후인 다음 달 중순에는 미 통상당국과 중간점검을 위한 2차 각료급 회의가 예정돼있습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