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이재명 대통령 UN총회 참석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국정과제 바로가기
본문

KTV 국민방송

KTX가 바꾼 대한민국 시간지도(다큐 13부)
광복 80년을 맞이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빛나는 순간들을 기억하는 특집 다큐멘터리로 우리나라 고속철도의 발전사를 조명하며, 일제강점기의 수탈과 전쟁의 폐허를 딛고 철도를 재건하던 과정, 그리고 산업화와 연탄 혁명의 기반이 되었던 철도의 역사를 살펴본다. 이어 고속철도의 필요성이 제기된 배경에서 출발해 2004년 세계 다섯 번째, 아시아 두 번째로 고속철도를 개통한 과정을 다루고, 2010년 '산천'이라는 토종 고속열차의 등장을 통해 세계 네 번째 고속철도 기술 보유국이 된 역사적 순간을 보여준다. 나아가 철도가 지역을 하나로 잇는 연결망이자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확장되는 비전을 제시한다.

1. 프롤로그, 속도의 혁명
- 시속 300km의 속도로 한국 사회에 '반나절 생활권'을 열어준 고속철도
- 단순한 교통 수단을 넘어 일상과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꾼 고속철도의 의의
- 고속철도 없는 삶을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교통수단이 된 발전사 재조명

2. 철도의 재건과 문화
- 1899년부터 시작한 철도의 역사, 일제강점기 수탈의 통로로 쓰였던 시기
- 광복과 한국전쟁을 거치며 초토화 된 철도, 휴전 후 국가 재건의 최우선 과제
- 태백선과 정선선 개통하며 연탄 혁명으로 이어져 산업화에 이바지
- 무궁화호, 새마을호, 대통령 전용 열차 등 다양한 열차들의 등장
- 경로잔치, 신혼열차 등 단순한 교통을 넘어 삶의 무대로서 국민들과 함께한 철도

3. 고속도로 등장과 철도의 위기
- 19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으로 철도의 물류·여객 주도권의 역할 축소
- 한때 사양 산업으로 밀려난 철도가 다시 교통수단의 중심으로 돌아오게 된 배경
- 늘어난 자동차와 고속도로 교통체증 등의 문제로 논의된 교통수단 대책
- 일반철도, 고속도로, 고속철도 세 가지 방안 중 경제성, 안정성, 수송량을 고려해 고속철도를 선택

4. D-day 2004.3.30. 고속철도 추진과 도전
- 서울~부산 411km, 시속 300km 달성을 목표로 한 경부고속철도 사업 시작
- 고속철도 공사를 시작하며 1992.6.30. 경부고속철도 기공식 시작
- 당시, 고속철도 기술보유국인 프랑스와 기술 이전 조건으로 계약 체결
- 그러나 고속철도 원천 기술인 설계 기술이 아닌 제작 기술만 연수해주던 프랑스
- 프랑스에 연수를 간 한국 기술 전문가들의 각고의 노력 끝에 얻어낸 기술 정보들
- 2004.3.30. KTX 개통식을 하며 세계 다섯 번째, 아시아 두 번째 고속철 운행국됨
- 서울~부산 2시간 40분 시대가 열리며 항공과 도로의 판도가 재편
- '당일치기 출장'과 지역 간 문화·의료 접근성이 가능해지며 사회가 달라짐

5. D+6년 2010.3.2. 한국형 고속철도의 탄생
- 프랑스의 원천 기술이 아닌 '한국만의 고속철도'를 꿈꾸던 우리나라
- 정부의 G7 프로젝트로 한국형 고속열차 개발에 착수
- 2004년 말, G7 프로젝트로 만든 HSR-350X 열차가 시운전으로 352.4km/h를 돌파
- 'KTX-산천'으로 상업 운행 시작하며 세계 4번째 고속철도 기술보유국이 됨

6. 한국형 고속철도, KTX-산천의 특장점
- 기존 KTX와 'KTX-산천'의 가장 큰 특징은 '디지털화'된 기관실
- IT 강국인 한국의 기술력으로 기술 전수를 해준 프랑스를 뛰어넘는 기술력을 보임
-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시인성을 높여 정비에도 효율적인 디지털화 기관실
- 중련 구조로 역과 역 사이가 가깝고 중복 노선이 있는 한국의 특성에 맞게 설계
- 경량·유선형 설계로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며 국산 기술의 상징
- 33년차 류기윤 기장의 운행을 동행하며 확인하는 정시성과 무사고 안전 운행을 위한 철저한 노력들

7. 지역을 하나로 잇는 고속철도
- 하루 24만 명 승객이 오가고 국토 절반 이상을 1시간 이내로 연결한 고속철도
- 8년째 KTX 정기권으로 천안아산역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사례자 경태훈
- 고속철도로 수도권과 지방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이며 새로운 삶의 형태 소개
- 실제로 천안아산역은 고속철도를 개통하며 도심 개발해 지방 소멸 대응의 성공 모델
- 역 주변 유동인구 활성화, 지역 불균형 해소 등 기회 요인으로 작용하는 고속철도

8.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서의 고속철도
- 2021년 KTX-이음 출시되며, 우즈베키스탄으로 2천 700억 원 규모 수출 계약 체결
- 세계 여러 나라에서 한국형 고속철도 기술에 대한 관심도 증가
- 세계 경쟁력을 갖춘 한국의 기술력으로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떠오른 고속철도.
- 광복 80년, 빠른 속도로 성장한 한국형 고속철도의 미래 가능성을 제시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