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롤로그 & 원조 받던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도약
- 세계에서 29번째로 OECD 가입하며 세계무대로 도약한 한국
- 불과 40년 만에 전쟁 빈국에서 선진국의 반열에 오르기까지의 여정은 어땠을까?
- 대전광역시의 인공 호수 대청호를 만든 다목적댐 대청댐
- 한국의 수자원 관리 분야의 ODA 사업에 찾은 가나 연수생의 이야기
- 과거 개발도상국이었던 한국의 경험에서 답을 찾는 연수생들의 모습
2. 원조받던 나라 대한민국
- 2024년, 미얀마와 캄보디아로 보내던 쌀 원조 출항식이 한국에게 어떤 의미일까?
- 전쟁 직후, 해외 원조에 의지해 생존하던 대한민국의 과거
- 재건의 기반을 다지고, 무상 원조가 줄어들던 시대적 배경
- ‘자립’을 꿈꾸며 시작한 산업화 흐름과 증산운동, 혼분식운동 등의 대국민 캠페인
3. 어느 방직 공장 여공의 추억
- 피난민이 모여서 만들어진 발산마을이 기억하는 원조와 자립 과정
- 전국 각지에서 발산마을로 청춘들이 모여든 이유, ‘방직 공장’
- 발산마을에서 자란 김복자 씨가 기억하는 치열했던 대한민국의 자립 과정
4. 넥스트 스텝 OECD
- 87년도, 개발도상국간 협력하는 남남협력 형태의 원조 시작
- 91년도, 원조를 전담하는 코이카 설립으로 구체화된 원조
- 받았던 원조를 협력의 형태로 되돌려주기 시작
5. D-day 1996년 12월 12일 OECD 가입 준비와 과정
- 90년대의 시대적 화두 ‘세계화’에 7차 경제개발계획에 명시된 OECD 가입 목표
- OECD 가입을 위한 전략과 금융시장 개방, 금융실명제 추진
- 당시, OECD 가입준비사무소장 김중수의 협상의 과정 회고
- 아시아에서는 두 번째, 세계에서 24번째 OECD 가입 국가로 선진국 반열에 합류
- 최초로 개발도상국에서 OECD 가입한 첫 번째 나라
- 반세기도 걸리지 않은 빠른 성장과 선진국으로의 도약 과정
6. D 345 1997년 11월 22일 IMF 외환위기
- OECD에 가입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시기에 터진 외환위기
- 무리한 OECD 가입이 원인이라는 지적이 있었으나 전화위복으로 작용
- OECD 가입을 준비하면서 세밀하게 준비했던 한국 경제 분석 자료들
- IMF에 분석 자료가 전달되며 3년 8개월 만에 벗어난 외환위기
7. D 4731 2009년 11월 25일 개발원조위원회(DAC) 회원국으로
- OECD 산하 기구인 개발원조위원회에 가입하게 된 배경
- 세계에서 24번째로 가입하며 최초로 수원국에서 원조국이 된 대한민국
- 한국의 개발원조위원회 가입이 더욱 특별했던 이유 ‘리먼 사태’
- 2017년 역사상 최초로 대규모 식량 원조 및 본격적인 원조 활동 시작
8. 공여국 한국의 ODA
- 해외 봉사활동을 하는 양은식, 정태정 씨가 들려주는 ODA의 가치
- 중점 협력국이자 주요 수출국인 베트남으로 보는 ODA의 선순환 구조
- ODA 가나 연수생들, 성공 답습이 아닌 맞춤형 발전을 위한 방향 제시
- 협력과 연대로 상생하는 SDGs 목표의 ODA
9. 에필로그, 최빈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
- 생존에서 자립, 선진국의 반열로 빠르게 도약한 대한민국
- 다음 터닝포인트를 위해 고민해야 할 넥스트 스텝, 선진 시민 의식과 책임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