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배너 닫기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국정과제 바로가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약한 모습 안돼"···소방관 마음 건강 '적신호'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약한 모습 안돼"···소방관 마음 건강 '적신호'

등록일 : 2025.10.20 13:11

김용민 앵커>
생사의 갈림길에서 시민을 구하는 소방관들은 매일 현장에서 불안을 마주합니다.
대형 재난과 사고 현장 목격으로 인한 심리적 트라우마 때문인데요.

김현지 앵커>
여전히 치료와 회복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강재이 기자의 보도입니다.

강재이 기자>
박영엘 구급대원은 십수 년 전 사고 현장을 아직도 잊지 못합니다.

인터뷰> 박영엘 / 전북 무주소방서 소방장
"4세 남아 아이 교통사고 현장에 갔을 때, 아이의 모습과 같이 손을 잡고 가다가 아이를 놓치면서 사고가 났던 그 어머니의 모습, 그리고 아무것도 모르는 동생이 울면서 대화하던 대화 내용과 현장이 오래 기억에 남습니다."

소방관의 연 출동 건수는 약 530만 건입니다.
대형 참사, 교통사고, 화재 등 누군가는 평생 한 번도 겪지 않을 수 있는 크고 작은 사고들을 이들은 매일 마주합니다.

인터뷰> 이창석 / 공노총 소방노조 위원장
"소방관들이 가는 현장은 매일 처참한 현장입니다. 그분들이 매일 보는 훼손된 시체나 다친 사람들, 그리고 그분들을 못 구했다는 죄책감을 가진 분들. 소방 공무원들 누구나 그런 트라우마를 안고 있습니다."

강재이 기자 jae2e@korea.kr
"소방청 조사에 따르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 소방관은 7.2%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자살률도 일반 국민보다 약 1.5배 높습니다."

소방관들은 대부분 '힘들다'라고 말하지 못합니다.
불길 속으로 뛰어드는 현장에서, 팀원에게 약한 모습을 보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영엘 / 전북 무주소방서 소방장
"내가 마음이 아프다고 표현하게 됐을 때, 쟤는 약한 애다. 쟤는 이 일과 맞지 않다는 이런 주변 시선이 두렵습니다. 대부분 다 그럴 겁니다. 내가 마음이 아프다, 약하다고 표현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제도적 어려움도 있습니다.
상담 건수는 늘고 있지만, 치료와 사후관리를 위한 지원은 부족합니다.
진료비 지원의 경우 지역별 편차가 크고, 1인당 9천 원 수준에 불과합니다.
예약과 대기 절차가 길어, 소방관들이 필요할 때 즉시 치료받기도 어렵습니다.
상담과 치료, 사후관리를 하나로 잇는 '장기적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전화인터뷰> 백종우 / 경희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소방공무원은 직무상 심각한 트라우마 사건에 반복돼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심각도의 단계에 따라서 상담, 진료 그리고 이후에 꾸준한 사후 관리까지 생애 주기별로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15일 국정감사에서 이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김 대행은 퇴직자 지원을 포함한 전 생애 주기 심리지원체계를 마련 중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제도화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이정윤 황신영 /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민혜정)
소방청은 이와 함께 내년도 개원 예정인 국립소방병원에 정신건강 센터를 설치해 치료와 회복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입니다.

KTV 강재이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