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배너 닫기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국정과제 바로가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박진영 지휘' 대중문화교류위 가동···'5대 문화강국' 이끌까?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박진영 지휘' 대중문화교류위 가동···'5대 문화강국' 이끌까?

등록일 : 2025.10.21 10:06

차현주 앵커>
가수 박진영 씨가 공동위원장을 맡은 대중문화교류위원회가 이번 달부터 공식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K컬처' 도약에 어떤 역할을 할지 기대가 큰데요.
자세한 내용,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이성민 / 한국방송통신대 교수)

차현주 앵커>
대통령 직속 '대중문화교류위원회'가 얼마 전 출범했죠.
교수님도 위원으로 참여하고 계신데요.
어떤 일을 하는 조직인지 먼저 소개 부탁드립니다.

차현주 앵커>
민관 협력 기구인 대중문화교류위원회에 대통령도 적극 지원하겠다 밝혔는데요.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 내용, 듣고 오겠습니다.

차현주 앵커>
JYP·CJ·네이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업계 대표들이 민간위원으로 참여해 눈길을 끌었는데요.
대중문화계 민관 협력 플랫폼이 생긴 것에 대해선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차현주 앵커>
공동위원장으로 JYP 엔터테인먼트 박진영 대표가 깜짝 임명돼 화제가 됐었죠.
교수님은 이번 깜짝 인사, 어떻게 보셨습니까?
박진영 위원장, 어떻게 평가하세요?

차현주 앵커>
'K컬처'의 위상을 높이는 데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큰 역할을 했죠.
그런데 일각에선 한국이 제작·투자에 참여하지 않은 작품을 'K콘텐츠'라 규정할 수 있느냐, 이런 지적도 나옵니다.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보세요?

차현주 앵커>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등장과 함께 '한류 4.0 시대'가 도래했단 얘기가 나옵니다.
'한류 4.0 시대'의 특성은 무엇이고, 앞으로 'K컬처'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우리나라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 같은 작품이 탄생하기 위해선 어떤 정책들이 추진되어야 한다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케데헌> 열풍으로 확인됐듯이, 'K컬처'의 선봉에 서 있는 건 단연 'K팝'이죠.
박진영 위원장은 출범식 행사에서 미국 최대의 음악 축제 '코첼라'를 이길 세계적인 'K팝' 페스티벌을 기획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는데요.
먼저, 관련 내용 듣고 오겠습니다.

차현주 앵커>
박진영 위원장이 '코첼라'를 넘어선 글로벌 'K팝' 페스티벌을 열겠다고 해 화제를 모았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어떤 노력들이 이뤄져야 한다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박진영 위원장과 이재명 대통령도 '팬 주권주의'를 강조했는데요.
그런데, 대중문화 업계가 'K팝 팬덤'을 대하는 태도는 여전히 '팬 주권주의'와 멀다는 비판이 큽니다.
이런 지적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차현주 앵커>
또, 'K컬처'의 위상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반면, 영화와 게임 산업은 오히려 위기를 맞고 있단 목소리도 일각에서 나옵니다.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어떤 정책들이 이뤄져야 한다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끝으로, 대중문화교류위원으로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있으시다면요?

차현주 앵커>
지금까지 대중문화교류위원회 이성민 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