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청와대에서는 노무현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에너지위원회가 출범했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국내 에너지소비량의 자주 개발률을 늘리기 위한 종합대책인 `에너지비전 2030`이 제시됐습니다.
유진향 기자>
지난해를 기준으로 국내 에너지소비량의 자주개발률은 4.1%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오는 2030년이면 자주개발률이 35%까지 확대됩니다.
또, 2%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이 9%로 높아지고 석유의존도는 35%까지 축소됩니다.
국가에너지위원회가 내놓은 에너지비전 2030으로 가능한 일입니다.
국가에너지위원회는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에너지 계획의 최고 기구로, 각계각층의 참여를 통해 열린 에너지정책을 구현하게 됩니다.
이 자리에서 정세균 산업자원부 장관은 원자력을 중요한 대안으로 꼽았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석유가 고갈돼가는 상황에서 원자력은 에너지 안보와 환경보호를 위해 꼭 필요한 에너지원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원자력을 얼마만큼 쓸 것인가 하는 원자력 정책 방향을 정립함에 있어서는 충분한 사회적 공론화가 선결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또 오는 2016년까지는 에너지로 인해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모든 국민에 대한 보편적 에너지 서비스를 실현할 계획입니다.
이런 정책 목표는 충분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앞으로 국가에너지 위원회에서 기본계획으로 확정할 예정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