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안이 얼마나 잘 이행되는지 점검하고 감독하는 제재 위원회가 본격적으로 제재 대상 선정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이런 가운데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 이후 처음으로 북한 선박 한척이 해상검문을 받고 억류됐습니다.
기자>
피터 버리안 유엔 주재 슬로바키아 대사를 위원장으로 하는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 위원회가 본격적인 대북 제재 대상 선정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제재위는 이번 회의에서 이번 주말까지 구체적인 제재대상 품목과 위원회의 운영방식, 일정 등을 결정해 유엔 회원국들에게 통보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제재 대상과 품목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 위원들간의 의견이 엇갈리는 부분이 있어 이에 대한 논의는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결의안에 명시된 핵이나 미사일 관련 물질의 수출입은 이사국의 이의가 없으면 그대로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만 생화학 무기의 포함 여부는 별도로 논의가 필요한 상탭니다.
금융자산 동결에 어떤 기관과 기업, 사람이 포함되는지 제재 대상을 정하는 구체적인 방법도 논의를 계속할 계획입니다.
또 금강산 관광사업 자체는 논의대상에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금강산 관광사업의 북한측 관련단체가 자금동결 대상으로 지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이와 함께 제재안에서 금수대상으로 정한 사치품도 구체적인 목록을 제시하기보다는 각국의 판단에 맡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제제위원회의 결정은 합의에 의해 이뤄지며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사안에 대해서는 안보리가 다시 논의해 채택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런 가운데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 이후 처음으로 홍콩에서 군사장비를 실은 것으로 의심받는 북한 선박 한척이 해상검문을 받고 억류됐습니다.
강남 1호로 알려진 이 선박은 해상검문 결과 무기운반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번 억류 조치는 항로 이탈과 안전조치 위반 때문에 이뤄졌다고 홍콩 해사처는 밝혔습니다.
한편 미국은 강남 1호가 홍콩에 입항하자 유도미사일을 탑재한 프리깃함을 홍콩에 보내 물리적 충돌에 대비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