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2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서 국내외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과학기술부는 24일 북한 핵실험과 관련한 대응 현황과 향후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기자>
과학기술부는 북한의 핵실험과 관련해 기술적 구조적으로 부적한 점을 보완해 유사사례가 발생하면 신속하고도 독자적인 탐지와 방사능 방재가 가능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박영일 과학기술부 차관은 브리핑을 통해 과기부는 환경방사능 감시에 주력했기 때문에 핵실험 탐지용 시설이나 장비는 부족하다면서 특히 핵실험 여부 판단에 사용되는 장비인 `제논 특정장비`는 일부 국가에서만 보유하고 있고 우리나라에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박 차관은 그러나 우리의 방사능 탐지능력은 극미량의 방사성 세슘 검출능력 등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라면서 우리가 개발한 방사능 방재 시스템은 IAEA, 즉 국제원자력기구 회원국에서도 활용하는 등 국제사회에서 인정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에 국내에 반입된 제논 측정 장비는 스웨덴으로부터 임시로 도입한 것으로 핵실험 이전부터 협의를 진행하던 중 북한의 핵실험으로 반입을 최대한 서둘러 조기에 들어왔다고 박 차관은 설명했습니다.
또한 제논.크립톤 탐지 장비를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며 현재 장비 구매를 위해 조사단이 3개국에 파견돼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Q> 24일 브리핑에서는 우리 위성이 촬영한 북한 핵실험 추정 지역의 영상도 공개됐죠?
A> 과기부는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 2호가 지난 16일 촬영한 북한 핵실험 추정지역 위성영상을 공개했습니다.
아리랑2호는 북한이 핵실험을 예고한 지난 3일부터 국가안보기관 요청에 따라 북한 지역 3곳의 좌표를 넘겨받아 촬영했고, 11일과 14일에도 해당 지역을 촬영했지만 기상불량으로 의미 있는 영상을 얻지 못한 바 있습니다.
16일 처음으로 촬영에 성공했습니다.
한편 박 차관은 핵실험 위치추정의 혼선을 방지하고, 진앙지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지질연구원과 기상청간의 핫라인을 지난 18일 설치했으며, 양 기관 간 진앙지 추정오차가 20km 이상인 경우에는 검증을 거쳐 발표하도록 해 정확성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현재 환경방사능은 평상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특이사항이 확인되면 즉시 공개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