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지체 장애인들의 실종이 해마다 늘고 있어 효과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입니다. 만일 장애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 수만 있다면 실종 발생 가능성을 애초에 차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보건복지부가 내놓은 위치정보 단말기 활용대책에 대해 알아봅니다.
기자>
정신지체나 발달장애 등을 가진 장애인, 특히 장애아동은 실종의 우려가 큽니다.
지각능력이나 판단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지난 한 해 동안 6천명이 넘는 장애인이 실종됐고, 이들 중 무려 126명이 집으로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이같은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해 보건복지부는 장애인 실종 예방을 위한 장애인 위치정보 파악 단말기 600대를 오는 12월부터 보급하기로 했습니다.
지원대상자 접수는 11월부터 시작되고 반복적으로 실종됐다 복귀한 경험이 있는 장애인에게 우선적으로 지급됩니다.
복지부는 특수학교와 장애인 시설의 신청도 받을 계획입니다.
선진국이 단말기를 보급해 장애인 실종건수를 획기적으로 줄인 성과를 거둔 선례가 있는 만큼 복지부는 앞으로 보급대수를 점차 늘려 장애인 실종을 근원적으로 없앤다는 계획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