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통상위기 대응
-
한미 관세협상 본격화···재무·통상 장관 '2+2' 협의
최대환 앵커>이런 가운데 상호관세를 놓고 한미간 본격적인 협상이 시작됩니다.양국의 재무, 통상 장관이 함께 참여하는 '2+2' 형식인데요.정부는 통상과 안보를 분리하고, 25% 상호관세율을 낮추는 데 집중할 전망입니다.계속해서 신국진 기자입니다.신국진 기자>최상목 경제부총리가 G20 재무장관 회의 참석 등을 위해 22일 미국행 비행기에 오릅니다.안덕근 산업...
-
트럼프 8대 비관세장벽 지목···중국·EU 겨냥한 듯
최대환 앵커>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비관세 부정행위' 8개 유형을 나열하면서, 미국 관세 정책의 정당성을 내세웠습니다.주요 비관세 장벽에 환율 조작과 부가세를 꼽았는데, 주로 중국과 유럽연합을 염두에 둔 걸로 해석됩니다.이혜진 기자입니다.이혜진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20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이른바 '비관세 부정행위' 8개...
-
트럼프, 환율조작·부가세 등 비관세장벽 8개 나열
김경호 앵커>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비관세 부정행위' 8개 유형을 나열하며 관세 정책의 정당성을 내세웠습니다.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이후 많은 국가 지도자들이 자신을 찾아왔다고도 언급했습니다.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이혜진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20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
-
한미 2+2 관세협상···통상·안보 분리 대응
김용민 앵커>한미 정부가 이번 주 예고된 관세 협상을 양국 재무, 통상 수장들이 함께 참석하는 2+2 협의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김현지 앵커>정부는 통상과 안보 현안을 분리해 협상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박지선 기자입니다.박지선 기자>한미 관세협상이 이번 주 미국 워싱턴DC에서 양국 재무, 통상 장관들이 참석하는 2+2 통상 협의로 진행됩니다.협의는 ...
-
한미 '재무·통상장관 2+2 통상협의'
김용민 앵커>미국과의 통상 협의가 이번 주 시작됩니다.미국 워싱턴에서 양국 재무와 통상장관들이 동시에 참여하는 '2+2' 형식으로 협의가 진행되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의 참석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김현지 앵커>정부가 편성한 12조2천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이 이번주 국회로 넘어갑니다.정부는 신속한 처리를 요청했는데요,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내...
-
경제안보전략TF 회의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모두발언
경제안보전략TF 회의 모두발언한덕수 / 대통령 권한대행 (오늘 오전 10시 발표)
-
한 대행 "국익 최우선···한미 상호호혜적 합의점 모색"
김용민 앵커>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국익 최우선의 원칙 하에 미국과 차분하고 진지하게 협의해 상호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한 권한대행은 이번 주 '한미 2+2 통상협의'를 앞두고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상호호혜적인 합의점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이어 협의가 진행되는 동안 우리 기업이 겪...
-
다음 주 관세 협상단 방미···트럼프 "중국과 대화 중"
최대환 앵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대화 중이라며, 앞으로 3~4주 내로 통상 협상의 타결이 가능할 거라고 밝혔습니다.이런 가운데 미국은 중국 해운사 등에 미국 입항에 따른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최영은 기자의 보도입니다.최영은 기자>이탈리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마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자들을 만나 모든 나라와 관세 협상이 잘 진...
-
자동차 부품업계도 흔들···"민관합동 총력 대응"
최대환 앵커>미국의 고율 관세가 우리 자동차 산업에 부담이 되고 있고, 특히 부품업체들은 직접적인 타격을 우려하고 있는데요.정부와 기업들이 관세 파고 넘기에 힘을 모으는 가운데, 국내 최대 피스톤링 제조업체를, 조태영 기자가 가봤습니다.조태영 기자>(대한이연 대전광역시 대덕구)자동차 엔진의 핵심 부품, 피스톤링입니다.현대·기아의 1차 협력사인 이곳은 수십 ...
-
미 관세 대상 자동차 등 '한-미 품목번호 연계표' 공개
최대환 앵커>미국 정부가 우리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대해 자신들의 기준으로 품목번호를 붙이면서, 우리 기업들이 관세 부과 대상 품목을 확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관세청이 기업들을 돕기 위해, 한미 품목번호의 연계표를 공개했습니다.김유리 기자입니다.김유리 기자>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일부터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