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국민리포트
-
파리 테러 참상 속 빛난 시민의식
연쇄 테러로 충격과 슬픔에 잠긴 파리, 전세계적으로 추모 물결이 이어지는 가운데 테러 당시 프랑스 국민들의 성숙한 시민의식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맹은지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청소년들 용돈 모아 '연탄 나눔'
날씨가 추워지면서 취약계층의 겨울나기가 걱정 되는 요즘인데요.
이번엔 청소년들이 용돈을 절약해 모은 돈으로 어려운 이웃에게 연탄을 전달한 훈훈한 소식 전해드립니다.
최영숙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깨지면 안 되니까 천천히, 천천히 해.”
비닐하우스에 주민들이 사는 서울 서초구 방배동 전원마을.
좁은 골목길이 연탄을 배달하는 ...
-
정신장애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제는?
장애인 관련법이 신체장애인 위주로 돼 있어 정신 장애인들에게는 큰 도움이 못되고 있다는지적이 있는데요.
정신장애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곽지술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서울 근교에 있는 정신요양원입니다.
주변에 작은 숲이 만들어지면서 요양원의 분위기가 한층 밝아졌습니다.
정신 장애...
-
아라뱃길 '오픈형 폰툰보트' 눈길
경인 아라뱃길에 새로운 형태의 보트가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오픈 카 모양으로 덮개가 없는 폰툰보트인데요.
강바람을 맞으며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어 인기라고 합니다.
유정순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포항을 출발한 보트가 경인 아라뱃길로 접어 들고 있습니다.
물길을 가르며 시원하게 보트가 달리자 승객들의 환호성이 이어집니다.
시야가 탁 트인 ...
-
줌마족 난민의 안타까운 사연
줌마족 하면 생소하게 들리실 분들이 계실 텐데요.
줌마족은 바로 방글라데시의 소수민족을 말합니다.
인종과 종교탄압을 피해 한국에 온 줌마족 난민들의 사연을 통해 우리나라 난민의 실태를 알아봤습니다,
문인수 국민기자의 보도입니다.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어린이들 사이에 피부색이 다른 어린이들이 즐겁게 놀고 있습니다.
방글라데시 줌마족 어린이들입니다...
-
똑똑한 CCTV…이제 음악도 들려준다
시설물관리나 교통단속용으로 사용되던 CCTV가 다양한 용도로 진화했습니다.
서울의 한 자치구에서 노래하는 CCTV를 운영하고 있는데, 반응이 좋다고 합니다.
박선미 국민기자의 보도입니다.
공원에 음악이 울려 퍼집니다.
잔잔한 클래식은 공원 분위기를 편안하게 만들어 줍니다.
방범용 CCTV에서 나오는 음악입니다.
안춘실 / 서울시 서대문구 봉원사길...
-
이주의 문화가 산책 (15. 11. 19. 17시)
앵커>
한 주간 대중문화계의 따끈따끈한 소식을 전해드리는 이주의 문화가 산책, 오늘은 영평상 시상식 소식부터 웃자 대한민국 페스티벌 소식까지 이은정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배우 김수현이 중국 동방TV가 조사한 '중국 연예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을 묻는 설문에서 톱5에 선정됐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김수현 씨는 5명 안에 유일한 외...
-
고령화 시대…청년이 본 노인의 모습은?
앵커>
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을 바라보는 시각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데요.
변화하는 노인의 모습에 대학생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요?
김승환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니들은 안 늙을 줄 알아?' 이렇게 외치던 어르신들이 점점 젊어지고 있습니다.
부정을 나타내는 영어 No와 늙을 노자를 합쳐서 노노족. 늙지 않는 노인이...
-
복지사각지대 찾아 '사랑의 집 고치기'
앵커>
매년 이맘때면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손길이 절실한데요.
겨울을 앞두고 어려운 이웃을 찾아 집을 말끔히 수리해주고 있는 새마을 봉사대원들을 이정우 국민기자가 만나봤습니다.
[기사내용]
물이 새서 얼룩진 벽과 장판, 내려앉은 천장, 그리고 깨진 창문.
서너평 남짓한 방은 웃풍을 막기 위해 비닐과 테이프로 겹겹이 감싸여 있습니다.
보증금 ...
-
노인에게 행복의 조건은?
앵커>
짧은 기간동안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룬 대한민국, 노인들의 삶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현재를 살아가는 어르신들에게 행복의 조건을 무엇일까요?
김제건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행복을 추구하는 권리는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다 같습니다.
그러나 왠지 나이가 들면서, 행복은 점점 멀어지는 느낌이라는 어르신들이 적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