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국민리포트
-
특성화가 살길, 계명문화대 '성인학습자 과정' 인기
김채원 앵커>
인구 감소와 수도권 쏠림으로 학생 충원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이 많습니다.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특성화가 필요한데요.
대구의 한 대학이 중장년을 대상으로 한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데 반응이 좋습니다.
그 현장, 최유선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최유선 국민기자>
(계명문화대 / 대구시 달서구)
대구의 한 대학, 4~50대 ...
-
사회적 가치 창출 '소셜벤처' 청년세대 확산
김채원 앵커>
요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경제적 이익도 창출하는 기업인 '소셜벤처'가 늘고 있습니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소셜벤처 대학 동아리도 많은데요.
정부와 민간 기관에서는 이들 소셜벤처에 대한 지원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최현정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최현정 국민기자>
(한양대학교 / 서울시 성동구)
...
-
생활 속 '복' 기원 민속품 200여 점 선보여
김채원 앵커>
건강과 부유함 등 행복한 삶을 가리켜 흔히 '오복을 갖췄다'고 하는데요.
우리 조상들이 중요하게 여긴 '복'과 관련된 민속품 200여 점을 선보인 전시가 광주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전통문화의 소중함을 엿볼 수 있는데요.
최찬규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최찬규 국민기자>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시 북구)광주민속역사박물관 전시장...
-
독일 통일의 성지 라이프치히, 통일음악회 열리다
김채원 앵커>
독일 라이프치히는 동서독 통일의 도화선이 됐던 월요 촛불기도회가 열린 곳인데요.
독일 통일의 성지에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기원하는 노래가 울려 퍼졌습니다.
그 감동의 현장을 박경란 글로벌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박경란 국민기자>
(통일희망음악회 / 독일 라이프치히)
독일 라이프치히 시내 한 가운데 위치한 알테 뵈제 홀.
아...
-
유명 작가 드라마 명대사 '타자기 체험' 인기
김채원 앵커>
요즘 복고풍 문화가 확산되는 분위기인데요.
과거 드라마 속 명대사를 예전에 쓰던 타자기로 옮겨보는 색다른 체험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타닥타닥 하는 소리와 함께 아날로그 특유의 정감을 느낄 수 있는데요.
박혜란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박혜란 국민기자>
(김수현드라마아트홀 / 충북 청주시)
추억의 뽑기 기계에서 드라마 속 ...
-
돌아온 외국인 관광객, 명동이 살아났다
김채원 앵커>
요즘 서울 거리에 나가면 외국인 관광객들이 눈에 많이 띄는데요.
코로나 검사 의무가 사라진데다가 달러 강세도 한 몫을 하고 있습니다.
활기를 찾은 명동 거리, 김숙이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김숙이 국민기자>
(명동 거리 / 서울시 중구)
서울 명동. 거리 곳곳이 외국인들로 북적입니다.
현장음>
“한 장 더 찍을게요, 하...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11월 사서추천도서는?
김나연 앵커>
기후 변화와 지구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환경은 미래세대의 삶에 큰 영향을 주면서 환경 관련 책에 대한 어린이, 청소년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국립어린이 청소년도서관 11월 사서추천도서 정의정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정의정 국민기자>
(달빛을 따라 집으로 / 필리프 쿠스토, 데버라 홉킨슨)
초등...
-
대학가 취업 대비와 정부 지원책 [취재수첩]
김나연 앵커>
이번 시간은 국민기자들의 생생한 취재 후일담을 들어보는 '취재수첩' 시간인데요.
방금 보신 ‘대학가 취업 지원’ 리포트를 취재한 정수연 국민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수연 국민기자>
네, 안녕하세요.
김나연 앵커>
대학생들의 취업 준비 모습을 담은 리포트 잘 봤는데요.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춰 취재하셨나요?...
-
취업 준비 고민, 대학마다 다양한 지원 나서
김나연 앵커>
요즘 청년 취업난이 심각하죠.
지난해보다 취업 환경이 좋아졌다고 응답한 취업준비생이 5.6%에 그쳤다는 조사 결과가 있는데요.
이런 분위기 속에 요즘 대학마다 취업설명회나 모의 면접 등으로 학생 진로 돕기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정수연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정수연 국민기자>
(숙명여자대학교 / 서울시 용산구)
코로나19 ...
-
요리가 즐거워요, 내 밥상 내가 차린다
김나연 앵커>
내 밥상은 내가 차리려는 6,70대 남성들이 늘고 있는데요.
이런 흐름에 맞춰 은퇴자, 중장년 남성들을 위한 요리 교실이 열렸습니다.
요리를 배우는 중장년 남성들을 유정순 국민기자가 만나봤습니다.
유정순 국민기자>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 서울시 은평구)
앞치마를 두른 6, 70대 남성들이 밥상 차리기에 도전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