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국민리포트
-
아프리카 참전 용사 찾아서…"고맙고 감사합니다"
앵커>
6.25전쟁에 참전해 목숨을 걸고 싸웠던 해외 용사들을 찾아가 감사의 인사를 전하는 대학생이 있습니다.
유럽의 참전용사들에 이어서, 이번에는 아프리카를 찾았는데요.
대학생 이학도 씨의 특별한 배낭여행을 곽민지 국민기자가 함께 했습니다.
[기사내용]
6.25 전쟁 당시 한국을 위해 싸운 에티오피아 용사들.
6천여 명이 참전해 큰 공을 ...
-
서문시장 화재 석달…화마 딛고 재기 안간힘
앵커>
작년 말에 대구 서문시장에서 난 큰 불로, 많은 상인들이 하루 아침에 생업의 터전을 잃고 망연자실했는데요.
지금, 서문시장은 어떻게 됐을까요.
아직도 남아있는 화마의 흔적 속에서, 피해 상인들은 재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습니다.
최유선 국민기자가 찾아가 봤습니다.
[기사내용]
석 달 전 큰불이 난 대구 서문 시장, 화마의 흔적 속에 희...
-
확산되는 '꽃 자판기' 졸업철 인기
앵커>
해마다 졸업·입학철인 이맘때면 많이 찾게 되는 게 바로 꽃이죠.
물론 생화를 사서 축하하는 경우가 아직 대부분이지만 요즘엔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꽃을 살 수 있는 자판기가 등장해서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편리함에 힘입어서 점차 확산되는 추세라는데요.
이지현 국민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사내용]
졸업식이 열린 서울의 한 중학교.
지난해...
-
한반도 첫 재배 '콩'의 세계 속으로
앵커>
두부와 두유, 메주를 만드는 데 쓰이는 우리나라의 대표 토종 콩, 바로 소백산 청정지역 영주의 부석태입니다.
이 토종 콩 부석태의 명맥을 이어온 영주에 가면 콩을 주제로 한 과학관이 있는데요.
재미있는 콩 체험으로 아이들에게 인기가 높다고 합니다.
박혜란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사내용]
콩으로 만드는 전통 발효식품인 메주 만들기...
-
세계의 문화를 체험하며 꿈과 희망을 키워요
앵커>
‘다문화’라고 하면 우리는 부지불식간에 아시아권의 문화를 떠올리곤 하는데요.
사실 '다문화'와 '세계 문화'는 같은 뜻을 갖고 있습니다.
바로 그런 편견을 깨주는 즐거운 박물관이 있는데,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김희진 국민기자가 소개해 드립니다.
[기사내용]
이탈리아에서 남자한테 인사하고 싶을 때 이렇게 얘기해요...
-
이주의 문화가 산책 (17. 02. 24. 8시)
앵커>
한주간 문화계 소식 전해드리는 이주의 문화가 산책입니다.
봄을 시샘하는 찬바람을 이기며 가족이나 연인과 함께 즐길 수 있는 공연과 전시, 그리고 한 주 앞으로 다가온 삼일절 관련 행사 소식까지.
김나실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1. 봄향기 ‘물씬’ 제주 여행 추천 ‘10선’
내륙은 아직 봄을 시샘하는 찬바람이 머물러있지만 ...
-
눈길 끄는 영화 도서관과 한옥 도서관
앵커>
도서관 하면 책으로 가득한 엄숙한 공간을 떠올리는 게 보통인데요.
그럼 이런 도서관들은 어떨까요?
영화관을 개조해 만든 영화 전문 도서관에 어린이들을 위한 한옥 도서관까지.
눈길과 발길을 잡아끄는 이색 도서관들로 장효진 국민기자가 안내해 드립니다.
[기사내용]
영화에서나 볼 수 있을법한 아치 모양의 책장, 높은 책장에 빼곡히 꽂혀 있...
-
기록매체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본다
앵커>
기록이 없었다면 과연 역사가 존재할 수 있었을까요.
역사 속에 녹아들어 있는 인류의 문명과 문화는 바로 기록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고, 그 한가운데에 도서관이 있었는데요.
국립중앙도서관에 우리 문명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해주는 기록매체 박물관이 문을 열었습니다.
민지선 국민기자가 찾아가 봤습니다.
[기사내용]
오래된 비디오테이프를 변...
-
한국의 '라인', 일본 국민 메신저로 통하다
앵커>
일본에서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사용하는 이른바 '국민채팅 앱'이 있는데요.
'라인'이라는 이름의 이 메신저 앱은 바로 우리나라 회사가 만든 겁니다.
일본 열도를 사로잡은 '라인'의 인기 비결을 도쿄 현지에서 권혜지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회사원, 주부, 학생 너 나 할 것 없이 모바일 메신저 라인으로 안부를 주고받습니다.
...
-
환경오염 종이영수증, 모바일에 관심을
앵커>
식사를 하거나 물건을 산 뒤에 받는 종이영수증, 그대로 찢어서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쓰레기를 양산하고 자원을 낭비하는 이 종이영수증 대신에 모바일 영수증을 사용하는 정책이 시범 도입되기도 했는데요.
연중기획 <환경, 세상을 바꾼다>,
오늘은 무심코 버려지는 종이영수증 문제를 구영슬 국민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사내용]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