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대구에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희움’ 개관

국민리포트 토요일 10시 50분

대구에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희움’ 개관

등록일 : 2015.12.16

대구에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이 문을 열었습니다.

완공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는데요.

시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으로 ‘희움’이란 이름으로 6년 만에 문을 열었습니다. 

최유선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대구시 중구에 문을 연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입니다.

흰색 벽면에 기와지붕의 역사관은 1920년 대 지은 일본식 2층 상가를 개축해 만들었습니다.

이용수 (87세)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

"일본하고 한국은 이웃나라입니다.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 아닙니까. 제가 죽는 한이 있더라도 해결하고 젊은 사람들이 서로 손을 잡고 옳은 역사를 가르치는 것이 소원입니다."

역사관에는 시기별로 전쟁의 역사와 위안부 할머니들의 아픈 삶을 보여주는 자료와 사진들이 전시돼 있습니다.

대구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은 역사의 산 교육장이 될 것입니다.

1. 2관으로 나눠진 역사관에는 희움 기념품 판매소와 강좌, 모임을 할 수 있는 교육실,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자료를 보관하는 수장고가 들어섰습니다.

호가주 / 고려대 일어일문학과 4학년

"'희움' 이라는 브랜드를 통해서 소비자들이 참여를 통해서 만들어진 박물관으로 알고 있는데 이 안에서 영상을 보면서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 역사관이 문을 열기까지 시민들의 힘이 컸습니다.

지난 2009년  김순악 할머니가 돌아가시면서 기부한 5천8백만 원으로 건립이 시작된 이 역사관은 각계각층의 마음이 모아져 6년 만에 탄생했습니다.

역사관 이름도 그 의미를 새겨 '희망을 모아 꽃피움'의 준말인 ‘희움’으로 정했습니다.

대구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은 경기도 광주와 부산, 서울에 이어 전국 네 번째입니다

권영진 / 대구시장

"대구시는 이 역사관이 잘 운영 될 수 있도록 그리고 대구에 계신 네 분의 할머니가 건강하게 우리의 한도 풀고 역사도 바로 세우고 그 역사를 후손들에게 바로 물려 줄 수 있도록 그날까지 열심히 일하겠다고 약속을 드립니다."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238명 가운데 대구 경북지역에 다섯 분을 비롯해 46명만이 생존해 있습니다.

시민의 마음이 모여 문을 연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은 대구 근대역사문화 거리에 또 다른 역사 현장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최유선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