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우리 밀 지킨다'…다양한 시도 주목

국민리포트 토요일 10시 50분

'우리 밀 지킨다'…다양한 시도 주목

등록일 : 2017.06.09

서구 식문화의 영향으로 밀가루 소비량이 크게 늘어났지만 우리 밀의 자급자족 비율은 거의 바닥 수준인데요.
우리 것이 설 자리를 잃어가는 이때, 우리 밀로 쿠키를 만드는 체험이나 수제 맥주를 판매하는 새로운 시도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임보현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드넓게 펼쳐진 우리 밀밭입니다.
누렇게 익은 우리 밀이 황금 물결을 이룬 채 수확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고품질 우리 밀로 체험 교육을 하는 우리 밀 생명학교.
교육 참가자들이 우리 밀로 반죽해 쿠키를 만들어보고, 치즈를 뿌린 피자도 만들어봅니다.
방금 구워서 나온 피자를 맛보는 참가자들은 미처 몰랐던 우리 밀 특유의 맛에 감탄합니다.
인터뷰> 이화옥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리 밀 피자는)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부드럽고요. 그리고 고소하게 느껴지거든요 수입밀은 먹으면 조금 더 텁텁한 느낌이 나는데..."
이곳에서는 우리 밀로 만든 과자와 국수, 부침가루를 직접 판매하고 있지만 잘 팔리지 않는 게 문제입니다.
인터뷰> 장곤옥 이사장 / 우리밀생명학교
"농민의 얼굴에 시름이 담겨 있습니다. 작년에 생산된 (우리) 밀이 아직 소비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 밀 산업을 살리는 길은 소비자 여러분이 우리 밀 제품을 선택해주시는 것입니다."
양조시설을 갖춘 광주의 한 맥주집.
우리 밀로 만든 수제 맥주도 팔면서 애주가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전체 원료의 20%를 우리 밀로 쓰는 수제 맥주를 팔기 시작한 지 1년이 채 안 됐지만 나름 특이한 맛이 애주가들의 입맛을 사로잡습니다.
인터뷰> 최소현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리 지역에서 나는 밀로 만든 맥주라 그런지 더 신선하고 깊은 맛이 나요. 그리고 여성들이 좋아하는 바나나 향이 나서 부드러운 맛이 나서 더 쉽게 마실 수 있는 것 같아요."
국내 1인당 밀 소비량은 지난해 기준으로 연간 33.2kg으로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
반면에 우리 밀 자급률은 2%도 채 안 됩니다.
값싼 수입 밀가루와 비교할 때 가격경쟁력에서 크게 뒤지기 때문에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비를 늘리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수입 밀가루가 식탁을 점령해 설 자리를 잃은 우리 밀, 이 땅에서 생산된 농산물이 우리 몸에 좋다는 '신토불이' 정신을 다시 한번 곱씹어봐야 할 때입니다.
국민리포트 임보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