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폐교 활용한 추억의 생활문화공간 조성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폐교 활용한 추억의 생활문화공간 조성

등록일 : 2021.05.07

김남순 국민기자>
(전통생활문화 테마파크 / 전남 무안군)
오래전에 문을 닫은 학교 건물.
전통생활문화공간으로 바뀌었는데요.
시간을 되돌려놓은 듯한 가게 간판, 만물 상회 앞에는 엿장수가 썼던 가위부터 자라 모양의 물병까지 볼거리가 가득합니다.
흑백텔레비전 브라운관에서 나오는 화면은 타임머신을 타고 온 느낌.
'월남 파병 소식'을 알리는 60년대 대한뉴스가 나오고, 채널을 바꾸자 또 다른 영상으로 바뀝니다.
추억의 가요를 들을 수 있는 음악다방도 있습니다.
이곳을 찾아온 여행객들, 차 한 잔과 함께 음악을 신청하던 시절이 새록새록 생각납니다.

인터뷰> 이영순 / 대전시 서구
"어렸을 때, 젊었을 때 생각이 너무 많이 나서 마음이 이상해요. 옛날로 돌아간 기분..."

벽면에 붙여진 쥐잡기 캠페인과 산아 제한 표어는 세월의 무상함을 느끼게 하는데요.
6, 70년대 생활 모습을 관람하면서 체험도 할 수 있는 이곳, 전남 무안군이 세대를 아우르는 공감의 장소로 조성했습니다.

인터뷰> 정혜숙 / 전남 문화관광해설사
"어린아이들에게는 선조들의 삶을 알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3대가 소통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관광객들이 많이 오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예전 모습으로 재현된 사진관, 필름판을 넣어 찍는 오래전 사진기가 그대로 있습니다.
직접 사진을 찍으면 옆에 있는 모니터로 전송돼 볼 수 있습니다.
튀밥으로 불리는 뻥튀기 기계도 볼 수 있는데요.
'뻥'하는 소리가 흘러나옵니다.

현장음>
"하나, 둘, 셋, 뻥이오."

현장음>
"깜짝 놀랐다."

어렵게 살았던 시절의 교실, 갈탄을 땠던 난로와 함께 그 위에 쌓아놓은 도시락이 정겹기만 합니다.

인터뷰> 강순덕 / 광주시 광산구
"학교 다닐 때 생각이 나고 너무 똑같고 어렸을 때의 모습이 정겹네요."

낯선 모습에 젊은 관람객은 세대 차이를 느낍니다.

인터뷰> 이명훈 / 광주시 광산구
"가운데 난로도 있고 이런 것을 처음 봐서 모르겠어요."

무안의 한 주민이 오랫동안 수집해 기증한 생활유물 수장고도 공개됐습니다.
찬합과 약탕기, 떡시루는 물론 원형 그대로인 가마와 오래된 냉장고까지.
전시된 소중한 물건이 3천 점이 넘습니다.
운동장에서도 옛 시절 물건을 만날 수 있는데요.
수도시설이 없었던 시절에 사용했던 작두 펌프, 마중물을 붓고 펌프질을 하자 물이 콸콸 쏟아져 나옵니다.
물지게로 옮기는 체험도 할 수 있는데요.

인터뷰> 이수연 / 유치원생
"힘들지만 재미있어요. 물이 콸콸 나오니까 신기해요."

운동회를 연상케 하는 박 터뜨리기.
엄마는 아이보다 더 신이 났습니다.

인터뷰> 유소영 / 광주시 광산구
"초등학교 때 운동회 했던 생각이 나네요. 박을 터트렸을 때 진짜 짜릿했는데..."

이곳은 월요일을 제외하고 연중 문을 여는데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관람 인원을 한 번에 40명 이내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문을 닫은 폐교가 정겨운 예전 생활 모습을 돌아보고 체험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했는데요.
서로 다른 세대가 함께 시간 여행을 하면서 이야기꽃을 피울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이 되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김남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