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트윈세대' 끼 살리는 맞춤형 전용공간 확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트윈세대' 끼 살리는 맞춤형 전용공간 확산

등록일 : 2021.07.27

김태림 앵커>
'트윈세대'라는 말 혹시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중학생까지를 아우르는 '영어식 표현'으로 감수성이 예민해지는 세대인데요.
'트윈세대'의 끼를 살려주는 전용공간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임수빈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임수빈 국민기자>
(경기도 / 수원시)

학교 다니랴, 또 학원 다니랴.
어린 학생들이 매일같이 공부에 쫓겨 생활하는 것이 현실인데요.
마음 놓고 쉬거나 놀 수 있는 공간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인터뷰> 정동수 / 학부모
“아이들이 편하고 안전하게 놀 수 있는 공간이 더 많이 늘어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린 학생들에게 쓰는 영어식 표현 중에 '트윈세대'라는 말이 있습니다.
10대를 뜻하는 틴에이저와 사이를 뜻하는 비트윈을 합친 표현으로 우리나라에서는 12세부터 16세까지, 즉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중학생까지가 해당하는데요.
이런 트윈세대를 위한 놀이와 창작공간이 수원에 문을 열었습니다.
이곳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표현해볼 수 있는 창작공간, 작업대 옆에 책에 나오는 짧은 문장이나 문구가 적힌 종이가 놓여 있는데요.
책 문장이나 문구 중 하나를 주제로 삼고 종이공예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를 고릅니다.
재료는 이곳에서 제공하는 골판지부터 털실과 솜, 철사 등 칼로 자르고 이어붙여 건물 모양부터 동물 모양까지 다양한 종이공예 작품을 만들어보는데요.
숨은 끼와 솜씨를 마음껏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강기현 / 초등학생
“재료가 많고 노력해서 만드니까 뿌듯했고요. 다음에 또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어린 학생들이 자신이 그린 그림이나 사진을 벽면이나 계단 난간 등 어디든 전시해놓을 수도 있습니다.
만화의 인물과 아름다운 풍경을 그려낸 그림.
그리고 이곳에서 촬영기기를 빌려 도서관 안팎을 찍은 사진인데요.
순수함을 엿볼 수 있어 보는 사람들을 미소 짓게 합니다.
트윈세대의 관심과 흥미를 반영한 서재도 있습니다.
만화책을 비롯해 각종 추리소설과 판타지 소설은 물론 인기를 끄는 웹툰도 볼 수 있는데요.
한여름에 걸맞게 공포 이야기를 담은 책도 있습니다.

인터뷰> 송민서 / 중학생
“판타지 소설이나 만화책들을 봤는데 재미있었고 다시 와서 더 많이 보고 싶어요.”

이곳은 신나게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놀이공간,
옛날 오락실 게임이나 보드게임을 마음껏 즐길 수 있습니다.
바깥의 풍경을 즐길 수 있는 테라스와 해먹에서 편하게 쉴 수 있는 다락공간도 있는데요.
다양하고 색다른 공간에 학부모들의 반응도 좋습니다.

인터뷰> 강윤수 / 경기도 수원시
“아이들이 자신의 꿈도 희망도 키울 수 있는 공간이 된 것 같아서 굉장히 기쁩니다.”

인터뷰> 송현수 / 트윈웨이브 관장
“트윈세대들이 지역에 (놀러) 갈 공간이 없습니다. 길거리에서 삼삼오오 논다든지 이런 경우들이 대부분인데 특히 이 트윈웨이브 공간 이용을 통해서 보다 더 자유로운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이 큽니다.”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동시 입장 인원을 20명으로 제한하고 있는 이곳.
아직 잘 모르는 어린 학생들도 많습니다.

현장음> 전지훈 / 초등학생
"처음 들어본 것 같아요"

현장음> 김시은 / 초등학생
"저도 처음 들어본 것 같아요"

트윈세대 맞춤형 공간이 전주와 서울 노원구에 이어 확산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홍보도 필요해 보입니다.
한창 성장 중인 트윈세대를 위한 새로운 놀이 창작 공간,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미래 꿈나무들의 끼를 살릴 수 있는 좋은 공간이 더욱 늘어나길 기대해봅니다.

국민리포트 임수빈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