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폭염 피해 예방, 취약 계층·선별진료소 대책은? [정책인터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폭염 피해 예방, 취약 계층·선별진료소 대책은? [정책인터뷰]

등록일 : 2021.08.02

김태림 앵커>
올 여름은 폭염에 '코로나19'까지 겹쳐 더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요.
취약 계층을 위한 '무더위 쉼터' 같은 시설 운영이 제한되면서 더 꼼꼼한 '폭염 대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자세한 내용 장진아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출연: 박현웅 과장 / 행정안전부 기후재난대응과)

◇ 장진아 국민기자>
정책인터뷰, 오늘은 올여름 폭염 대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무더위가요, 무섭다고 느껴질 정도입니다.
온열 환자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 같은데요.
올해는 어떤가요?

◆ 박현웅 과장>
올해는 현재까지 온열 질환자가 752명입니다.
작년에 비해서는 많은 편인데요.
잘 아시다시피 작년은 최장 장마 기간으로 폭염 일수가 적었습니다. 폭염이 심했던 18년에 비해서는 절반에 조금 좀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이 폭염에 또 가장 취약한 분들이 독거노인이나 노인 분들일 텐데요.
이 취약계층에 대한 대책은 어떤가요?

◆ 박현웅 과장>
그렇습니다. 저희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 중의 하나인데요.
사회복지사라든가 이런 분들을 통해서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과 안부를 확인하고 있고요.
또 민간이라든가 민간 협력 사업을 통해서 이분들에 대해서 냉방 용품이라든가 이런 걸 지원하고 있습니다.
작년 같은 경우는 한 43억 정도가 지원됐고요.
이제 또 서울 같은 경우는 독거노인이나 이런 분들을 위해서 호텔과 협약을 맺어서 야간 숙소를 제공해 주고 있고 지방 자치단체별로 상당히 많은 시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온열 질환자의 절반 이상이 이 사업장에 종사하는 건설업 종사자분들인데요. 이 사업장에 대한 어떤 특단의 대책이 올해는 필요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도 듭니다.

◆ 박현웅 과장>
온열 질환자 통계를 보면 올해도 주로 건설 현장이라든가 야외 작업에서 오는 피해가 한 80%가 넘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지난 25일 고용부를 중심으로 국토부, 기재부, 행안부 등 그 건설 종사자에 대한 종합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여기 내용을 보면 우선 폭염이 심한 시간대는 공사를 좀 중지하도록 했고요. 시공자들이 가장 꺼리는 부분이 공사를 중지함으로 인해서 공기 연장이라든가 지체 잔금을 묻는 부분입니다. 그런 부분도 없도록 관련 지침을 개정을 했고 또 온열 질환 3대 기본 수칙이 있습니다.
물, 그늘, 휴식인데요. 이런 부분이 잘 지켜지도록 민관이 합동으로 지도 점검도 하고 있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그렇다면 예년과 다르게 올해는 조금 더 강화된 부분이나 달라진 부분이 있을까요?

◆ 박현웅 과장>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대책을 좀 수립해서 발표했다는 거고요.
시공자들에 대한 불이익을 좀 방지하는 부분을 더 강화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지체 잔금이라든가 공기 연장으로 인한 불이익 부분을 아주 규정을 바꿔서.
그런 부분이 없도록 하는 시책들을 펼치고 있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올해는 또 코로나19까지 겹친 상황이라서 더 힘든 여름을 나는 것 같은데요.
이 임시 선별진료소 의료진에 대한 대책은 어떤가요?

◆ 박현웅 과장>
저희가 복지부를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는데요.
선별진료소 분야에서 중사원들이 방호복을 입다 보니까 상당히 지금 폭염에 고생을 많이 하고 계십니다.
그 부분에 대해서도 방대본이라든가 이런 데서 대책을 마련해서 그분들에 대한 휴식이라든가 냉방 용품 또 대기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지 않습니까.
서울 같은 경우에는. 그분들에 대해서 그늘막도 설치해 주고 양산 제공이라든가 폭염 예방 물품도 지원하는 등 그런 대책들을 정부 차원에서 지금 펼치고는 있습니다만 무더위가 하도 심하다 보니까 고생이 많은 부분이 있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올여름 그래도 건강하게 나기 위해서 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을까요?

◆ 박현웅 과장>
우선 국민 여러분께서는 기상 상황을 좀 청취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각종 방송이라든가 이런 상황을 보고 폭염 상황을 보시고요.
또 이제 술이나 카페인이 들어가는 음료보다는 물을 많이 섭취를 해 주셔야 되겠습니다.
그리고 좀 야외 활동을 좀 자제해 주셔야 되고요.
아까 말씀드린 대로 논밭 일이라든가 건설 현장 작업 이런 것을 좀 자제해 주시고요.
그리고 외출 시에는 모자라든가 양산 등을 착용해 주시고 집에 에어컨이 없고 이런 분들은 가까운 무더위 쉼터를 활용하는 것도 그 방안이 되겠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이 무더위가 해마다 반복이 되면서 더 심해지기 때문에 이 장기적인 대책도 필요해 보입니다.
어떻게 세우고 계신가요?

◆ 박현웅 과장>
연구 용역을 지금 실시 중에 있습니다.
저감 시설이라든가 이런 부분의 연구도 실시하고 있고요.
또 기후변화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전문 교수라든가 전문가분들에게 자문도 받고 여러 가지 시책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마지막으로 국민분들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 박현웅 과장>
국민의 그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일은 정부의 책임이자 의무입니다.
그래서 저희들도 노력은 하고 있습니다마는 안전이라는 것이 정부의 힘만으로는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제 아까 말씀드린 대로 외출을 좀 자제해 주신다든가 논, 밭일이라든가 건설 현장에서 폭염이 심할 때 작업을 중지해 주시는 일 이런 부분만 지켜주신다고 해도 많은 인명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저희가 더 노력해야겠지만 국민 여러분께서도 이런 부분도 협조해 주셨으면 대단히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 장진아 국민기자>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박현웅 과장>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