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아동복지시설 퇴소자 '주거 고민' 덜어준다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아동복지시설 퇴소자 '주거 고민' 덜어준다

등록일 : 2022.03.23

변차연 앵커>
사회복지시설 등에서 지내는 아동들은, 만18세가 되면 이 시설에서 나와 살아야하는데요.
이들을 위한 주거 지원이 있습니다.
또, 각종 규제 탓에 불편을 겪고 있는 '개발제한구역'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도 펼쳐집니다.
자세한 내용 곽지술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곽지술 국민기자>
복지시설에서 지내는 아동은 만 18세가 되면 독립을 해야 합니다.
정착 지원금이 나오지만 살 집 마련에서 취업까지 이들이 자립하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인터뷰> 조경호 / 시설 퇴소 자립 청년
“퇴소를 하면 자립 정착금이 나오잖아요. 500만 원 이렇게 나오는데... 보통 나오자마자 돈을 다 쓰는 사람도 있거든요.”

(희망디딤돌 / 경기도 화성시)

복지시설 보호가 끝나는 아동 청년들을 위한 주거 시설입니다.
1인 1실에 각종 살림살이가 다 갖춰져 있습니다.
당장 살길이 막막한 청년들에게 이런 주거시설은 자립에 큰 힘이 됩니다.

인터뷰> 권용수 / 시설 퇴소 자립 청년
“제가 퇴소했을 때는 고등학교 3학년 10월쯤에 퇴소를 했고요. 그래서 취업을 가장 먼저 했던 게, 기숙사 있는...”

1인 가구 아동이나 청년이 2년까지 큰 부담 없이 지낼 수 있는 이런 주거시설은 경기도에만 100채가 있는데 전국적으로 확대 보급됩니다.

인터뷰> 이상찬 / 경기복지재단 희망디딤돌 경기센터장
“생활공간을 무상으로 2년 동안 지원하고 있고요. 이곳에서는 본인이 관리비만 부담하고 나머지는 주거비에 대해 부담감 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고...”

개발제한구역 안에 있는 주택입니다.
27년째 3대가 함께 살고 있는 집인데요.
낡고 오래된 바닥과 천장, 수납장 등을 고쳤습니다.
여기에 드는 비용 2천만 원 중 90%를 지원받았습니다.
각종 규제에 묶여 불편을 겪는 주민을 위한 지원이 확대된 덕분입니다.

인터뷰> 백중기 / 화성시 청요리
“지금 리모델링 비가 그렇게 비싸더라고요. 도움이 되는 게... 재정적인 부담이든가 (지원해줘서) 엄청 좋죠. 고맙게 생각해요.”

개발제한구역 내에 있는 또 다른 마을인데 지자체의 지원을 받아 농촌형 체험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갈수록 고령화되는 농촌 마을의 체험장들은 새로운 타개책으로 입소문을 타고 관광객들이 늘고 있습니다.
쌀겨를 활용해 발효열로 찜질을 할 수 있는 시설입니다.
체험장은 주민들이 직접 운영하고, 수익의 일부는 마을을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건종 / 화성시 송라2리 이장
“매출액의 10%를 마을에 반환하고요. 반환된 돈은 마을 주민들이 나눠서 쓸 수 있는 규약을 만들어놓고 있습니다.”

각종 규제로 불이익을 받고 있는 개발제한구역 주민을 위한 사업은 주택 개량 보조와 마을 수익사업뿐만 아닙니다.
기반 시설 확충과 복지문화 개선 등 지원 사업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류호국 / 경기도 지역정책과장
“개발제한구역이 불편을 크게 겪고 있고 또 재산적 손해를 많이 보고 있기 때문에 이분들에 대해서 지원 사업을 통해 불편사항이 많이 해소되었으면 합니다.”

(촬영: 김창수 국민기자)

복지 사각지대나 규제에 묶여 불이익을 받은 사람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 사업이 좋은 반응 속에 대상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곽지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