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확인되자 정부는 5일 오전 국가안전보장 상임회의를 열고 동북아의 평화와 안전을 저해하는 행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아울러 이로인해 일어날 사태에 대해 북한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북한이 5일 오전 대륙간 탄도미사일인 대포동 2호 1기를 포함해, 모두 7기의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북한은 5일 오전3시32분 첫번째 미사일을 시작으로 오전8시20분까지 6기를 발사한 데 이어 5일 오후5시20분 중거리 미사일을 추가로 발사했습니다.
이중 북한이 5일 오전5시 세번째로 발사한 장거리 미사일 대포동 2호는 발사 42초 만에 동해상에 추락했습니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미사일 발사를 강행함에 따라 남북경협을 포함한 남북관계 전반이 경색되고 미국 내 강경파의 대북 제재론이 더욱 힘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주석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수석은 5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발표한 정부 성명에서 북한은 이번 발사로 야기되는 사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이 같은 도발적 행위를 중단하고 6자회담에 즉각 복귀해 대화로 문제를 풀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5일 오전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안보관계 장관회의도 열렸습니다.
안보관계장관회의에서는 이번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북미관계에 있어서 국면전환을 노린 고도의 정치적 압박행위라고 규정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이번 사태에 대해 단호하고 엄정하게 대응하되 문제를 정치,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정치,외교적으로 차분하게 대응하는 것이 북한의 의도를 무력화시키는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대화의 틀 속에서 강력하게 항의하는 한편 북한이 실질적 부담을 안을 수밖에 없는 조치를 검토하되 행동은 신중하고 유연하게 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남북 대화를 중단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 또 상황관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도 심사숙고하기로 했습니다.
구체적 대북조치는 이러한 상황을 국민들에게 설명하고 국민들의 선택적 사고의 여지를 지켜보면서 결정해 나갈 예정입니다.
한편 청와대 안보실 관계자는 안보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된 이 같은 정부의 대응방안은 노무현 대통령의 뜻이 담겨 있는 것이라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