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파주서 추가 확진···인천 강화서 의심사례
김유영 앵커>
오늘 오전 경기도 파주시에서 아프리카 돼지열병 추가 확진이 나온데 이어 인천 강화군에서 의심 농가가 확인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임소형 기자, 이번에는 인천 강화군이라고요?
임소형 기자>
(장소: 정부세종청사)
네 그렇습니다.
인천 강화군의 한 돼지농장에서 아프리가돼지열병 의심 사례가 나왔습니다.
...
-
내일 민방위의 날···돼지열병 중점관리지역 제외
김유영 앵커>
행정안전부는 내일 제412차 민방위의 날을 맞아 오후 2시부터 전국에서 화재대피 훈련을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훈련은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 대형화재에 대비해 대피요령을 익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훈련은 전국적으로 시행되지만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된 6개 시·군은 제외됩니다.
-
내일부터 아동수당 만 7세 미만으로 확대
김유영 앵커>
내일부터 아동수당 지급대상이 만 7세 미만으로 확대됩니다.
또, 500세대 이상 입주 예정인 아파트 단지는 국공립 어린이집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혜진 기자>
'아이를 낳고 키우는 책임을 사회와 가정이 함께 나누고, 아동의 기본권과 복지 증진에 힘쓰자.'
정부가 지난 5월 발표한 포용국가 아동...
-
ILO 핵심협약 비준안 3건 국무회의 통과
김유영 앵커>
정부가 국무회의에서 국제 노동기구, ILO의 핵심 협약 비준안 3건을 심의 의결했습니다.
회의 내용 신경은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신경은 기자>
정부가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국제노동기구 ILO의 핵심협약 비준안 3건을 심의 의결했습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ILO핵심협약 8개 가운데 4개를 비준하지 않았습니다.
정...
-
손 끼임·자동문 갇힘 예방···건축안전 기준 개선
김유영 앵커>
어린아이들이 문에 손이 끼는 사고 종종 발생하는데요.
국토교통부가 사고 방지를 위해 관련 기준을 개정했습니다.
박천영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박천영 기자>
1. 건축안전 기준 개선
아파트에 살고 있는 A씨는 방문에 설치하는 손 끼임 장치를 미관상의 이유로 철거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아이가 문에 손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해 ...
-
ASF 4번째 발병···48시간 일시이동중지명령
임보라 앵커>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어젯밤 김포 농가 확진 이후 오늘 새벽 파주에서 또다시 발병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박천영 기자!
박천영 기자>
(장소: 정부세종청사)
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처음 발생했던 경기 파주에서 또다시 발병됐습니다.
일주일 전인 지난 17일 파주, 18일 연천, 어...
-
가정용 전기요금 계절·시간대별 차등화
임보라 앵커>
가정용 전기요금을 계절과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시범사업이 시작됐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이혜진 기자가 자세하게 전해드립니다.
이혜진 기자>
앞으로 가정에서 쓰는 전기도 계절과 시간에 따라 다른 요금을 낼 수 있게 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은 7개 지역, 2천 48가구를 대상으로 계절·시간대별 요금제 실증사업을 추진한...
-
파주서 추가 확진···'일시이동중지' 발령
임보라 앵커>
국내 첫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지인 경기 파주시에서 오늘 새벽 또다시 확진 판정이 나왔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임소형 기자, 김포와 파주에서 추가 발생이 있었다고요?
임소형 기자>
(장소: 정부세종청사)
네 그렇습니다.
밤사이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판정이 두 건 나왔습니다.
어제 저녁 경기 파주시 적성...
-
아동수당 지급 확대 공동주택 내 국공립어린이집 설치 의무
아동수당 지급 확대 공동주택 내 국공립어린이집 설치 의무
김강립 / 보건복지부 차관
(장소: 보건복지부 브리핑실)
-
"유엔총회 참석, 평화프로세스 지지 확보 계기"
유용화 앵커>
문재인 대통령은 우리 시간으로 모레 새벽 유엔 총회 기조 연설을 합니다.
신경은 앵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의 유엔 총회 참석을 통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는 계기가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이번 유엔총회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대한 지지 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