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12~17세 오미크론 대응 2가 백신 접종 시작
최유선 앵커>
12~17세 청소년 대상 2가 백신 접종이 시작됐습니다.
방역당국은 면역저하자나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 청소년의 접종 참여를 권고했습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현재 접종이 진행 중인 코로나19 2가 백신은 국내 우세종, BA.5 변이를 막는 데 효과적입니다.
기존 백신보다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중화항체 생성...
-
KF-21 탑재할 장거리공대지유도탄 개발 착수
최유선 앵커>
방위사업청은 오는 2028년까지 약 1천900여 억원을 투자해 한국형 전투기 KF-21에 탑재 운영할 장거리공대지유도탄 체계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습니다.
개발에 착수한 장거리 공대지유도탄은 국내 기술로 개발하는 첫 공중발사 유도탄으로 수백㎞ 떨어진 적의 핵심표적을 정밀 공격할 수 있습니다.
현재 공군의 주력인 F-15K 전투기는 타우러스...
-
방사청, 사단급 대포병탐지레이더 2026년까지 개발
최유선 앵커>
방위사업청은 LIG넥스원과 300억원 규모의 사단급 대포병탐지레이더 체계개발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사단급대포병탐지레이더 체계개발사업은 육군과 해병대의 노후한 대포병탐지레이더를 국내에서 연구개발해 2026년까지 대체하는 사업입니다.
새로 개발하는 사단급 대포병탐지레이더는 동시 표적 탐지능력이 현재 장비보다 2배로 증가하고 탐...
-
12월 1~10일 수출 154억 달러···작년 동기 대비 20.8%↓
최유선 앵커>
이달 들어 10일까지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20.8% 감소한 154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관세청에 따르면 주요 품목 가운데 석유제품과 승용차 등은 수출이 증가한 반면, 반도체와 무선통신기기 등은 감소했습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7.3% 감소한 203억 달러, 무역수지는 49억 달러 적자입니다.
-
대한민국, 혁신조달의 얼리어답터로 나서다
▶ 혁신조달제도, 세계의 국가 경제성장 전략으로 떠오르다
- EU 회원국을 비롯하여 미국, 캐나다 등 해외 주요국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혁신조달 제도를 도입하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을 공공조달을 통해 구입하거나 기술 개발을 위한 자금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세계는 지금, 가격 위주의 단순 대량 ...
-
"실내 마스크 해제 기준 이달 중 확정"
임보라 앵커>
정부가 실내 마스크 해제 판단 기준을 이달 중 확정합니다.
방역상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지표를 마련하고, 기준이 충족되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지난주 일부 지자체가 실내 마스크 '자체 해제'를 예고하면서,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시작됐...
-
"실내 마스크 해제 기준 이달 중 확정"
최유선 앵커>
정부가 실내 마스크 해제 판단 기준을 이달 중 확정합니다.
방역상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지표를 마련하고, 기준이 충족되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지난주 일부 지자체가 실내 마스크 '자체 해제'를 예고하면서,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시작됐...
-
꿀벌 월동피해, 정상 봉군 집중 관리로 극복
-전국 시·도, 시·군 대책반 구성 및 월동에 들어간 농가에 교육·지도 등 피해 저감에 모든 역량 집중-
윤세라 앵커>
올 겨울에도 꿀벌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농식품부가 대책을 내놨습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작년 봄철 작황부진으로 꿀벌의 먹이가 부족해, 면역력이 악화된 상황에서 응애와 말벌 등에 의해 꿀벌이 폐사한 것이...
-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2. 12. 09. 11시)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2. 12. 09. 11시)
임을기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관리반장
(장소: 질병관리청 브리핑룸)
-
꿀벌 월동피해, 정상 봉군 집중 관리로 극복
-전국 시·도, 시·군 대책반 구성 및 월동에 들어간 농가에 교육·지도 등 피해 저감에 모든 역량 집중-
윤세라 앵커>
올 겨울에도 꿀벌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농식품부가 대책을 내놨습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작년 봄철 작황부진으로 꿀벌의 먹이가 부족해, 면역력이 악화된 상황에서 응애와 말벌 등에 의해 꿀벌이 폐사한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