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통일부, 핵실험장 인근 탈북민 피폭 전수조사
임보라 앵커>통일부는 다음달부터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 탈북민에 대한 방사선 피폭 전수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길주군과 인근지역 출신 중 1차 핵실험 이후 탈북한 인원은 796명으로 올해 먼저 80명의 희망자와 기존 검사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온 9명의 동의를 얻어 총 89명에 대한 검사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통일부는 설명했습니다.통일부는 이번 피폭...
-
남북연락채널 '불통'···"강한 유감···북, 스스로 고립"
최대환 앵커>북한이 지난 7일부터 군 통신선과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등 남북간 연락 채널에 일절 응답을 않자, 통일부가 성명을 냈습니다.송나영 앵커>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북한의 무책임한 태도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고, 결국 스스로를 고립시켜 더욱 어려운 지경에 처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김민아 기자가 보도합니다.김민아 기자>북한은 지난 7일부터 지금...
-
남북연락채널 '불통'···"강한 유감···북, 스스로 고립"
최대환 앵커>북한이 지난 7일부터 군 통신선과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등 남북간 연락 채널에 일절 응답을 않자, 통일부가 성명을 냈습니다.송나영 앵커>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북한의 무책임한 태도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고, 결국 스스로를 고립시켜 더욱 어려운 지경에 처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김민아 기자가 보도합니다.김민아 기자>북한은 지난 7일부터 지금...
-
남북연락채널 '불통'···"강한 유감···북, 스스로 고립"
임보라 앵커>북한이 지난 7일부터 군 통신선과 남북공동 연락사무소 정기 전화에 답하지 않고 있습니다.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성명을 내고, 강한 유감을 표명하면서 북한이 스스로 고립시키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김민아 기자가 보도합니다.김민아 기자>북한은 지난 7일부터 지금까지 모든 남북연락채널 전화에 무응답으로 일관하고 있습니다.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북한의 이러...
-
남북 통신선·개성공단 무단가동 관련 통일부 성명
남북 통신선·개성공단 무단가동 관련 통일부 성명권영세 / 통일부 장관(장소: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
-
남북연락채널 '무응답'···"일방적 차단·시위 성격"
최대환 앵커>북한이 군 통신선은 물론이고 남북공동연락사무소까지, 남북간 연락 채널에 나흘째 전혀 응답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의도적인 차단에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한미연합훈련과 북한인권보고서 공개 등에 대한 시위의 성격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김민아 기자가 전합니다.김민아 기자>지난 7일부터 '남북연락채널'이 불통상태입니다.북한이 군 통신선과 남북공동 연락사...
-
남북연락채널 '무응답'···"일방적 차단·시위 성격"
최대환 앵커>북한이 군 통신선은 물론이고 남북공동연락사무소까지, 남북간 연락 채널에 나흘째 전혀 응답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의도적인 차단에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한미연합훈련과 북한인권보고서 공개 등에 대한 시위의 성격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김민아 기자가 전합니다.김민아 기자>지난 7일부터 '남북연락채널'이 불통상태입니다.북한이 군 통신선과 남북공동 연락사...
-
나흘째 남북연락채널 '무응답'···"일방적 차단·시위 성격"
임보라 앵커>북한이 나흘째 남북연락채널에 응답하지 않고 있습니다.의도적 차단에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한미연합 훈련 등에 대한 시위 성격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김민아 기자가 전합니다.김민아 기자>지난 7일부터 나흘째, '남북연락채널'이 불통상태입니다.북한이 군 통신선과 남북공동 연락사무소 전화에 응답하지 않고 있는 겁니다.군 통신선은 주말을 포함해 오전 9...
-
남북 연락사무소·군통신선 나흘째 불통
김용민 앵커>북한이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와 군통신선 정기 통화에 나흘째 응답하지 않았습니다.통일부와 국방부에 따르면 오전 9시 남북공동연락사무소와 군통신선 업무 개시 통화가 북측의 무응답으로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남북은 공동연락사무소 채널과 군통신선으로 매일 오전과 오후 개시통화와 마감통화를 진행하는데 북한은 지난 7일 오전 통화를 시작으로 공동연락...
-
북한 인권 사진전시회
북한 인권 사진전시회DMZ 평화의 길 11개 테마노선 개방통일클라스 - EP.2 역사학자 심용환 2편통일현장 -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