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KTV 편성개방
KTV소개
KTV소식
편성표
정보공개
로그인
모바일
KTV국민방송
검색
검색
검색
채널안내 펼쳐기
IPTV(KT, SKB, LGU+)
64번
스카이라이프
164번
전체메뉴 열기
온 에어
뉴스
주요뉴스
최신뉴스
경제
사회
문화
과학
외교/안보
정책이슈
프로그램
정책
문화/교양
보도
특집
국가기념식
종영
온라인콘텐츠
SNS콘텐츠
카드뉴스
부처 홍보영상
정책브리핑
OTT
이용자 참여
편성개방 안내
시청자 의견
방송소재 제안
영상기증
국민신문고
클린신고센터
공익신고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뉴스
주요뉴스
최신뉴스
경제
사회
문화
과학
외교/안보
정책이슈
프로그램
정책
문화/교양
보도
특집
국가기념식
종영
온라인콘텐츠
SNS콘텐츠
카드뉴스
부처 홍보영상
정책브리핑
OTT
이용자 참여
편성개방 안내
시청자 의견
방송소재 제안
영상기증
국민신문고
클린신고센터
공익신고
온 에어
방송안내
통합검색
KTV 소식
KTV소개
회원관리
정보공개
이용안내
편성개방안내
사이트맵 전체보기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블로그
네이버TV
맨위로 가기 버튼
본문
내달 17일 시험운행
경의선과 동해선 열차의 시험운행이 다음달 17일로 확정됐습니다. 그동안 시험운행의 걸림돌이었던 군사보장조치는 시험운행 전에 마무리 짓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최고다 기자> 예정된 일정을 넘겨서까지 계속됐던 제 13차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노력이 헛되지 않게 기대 이상의 성과를 얻었습니다. 남과 북은 경의선·동해선 열차시험운행을 5월...
`시험운행 이번에는 가능`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남북이 다음달 17일 실시하기로 합의한 경의선과 동해선 열차시험운행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재정 장관은 23일 mbc 라디오와의 전화인터뷰에서 열차시험운행과 `경공업-지하자원 개발 협력`이 5∼6월에 함께 이뤄지도록 맞물려 있어 이번에는 열차시험운행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장관은 또 대북 ...
부처별 뉴스
부 (19) >
통일부
선택하세요.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국가보훈부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성가족부
외교부
중소벤처기업부
통일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환경부
美 방문 BDA 해결방안 협의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방코델타아시아 문제 해결과 2.13 합의 이행을 촉진하기 위해 23일 미국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정부 당국자가 밝혔습니다. 천 본부장은 방미 기간에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 등과 만나 BDA 해결방안을 집중 협의하고 가급적 조기에 2.13 합의를 이행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BDA ...
[생방송 국정현장]
2007.04.23
날개 단 개성공단
한미FTA 타결로 개성공단이 활력을 더해가고 있습니다. 개성공단에서 생산된 제품이 한국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유진향 기자> 개성공단에 입주해 있는 시계 공장입니다. 북한 노동자들이 분주히 손을 놀리며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한미FTA 타결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나날이 활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한미 양측이 역...
[생방송 국정현장]
2007.04.23
`시험운행 이번에는 가능`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남북이 다음달 17일 실시하기로 합의한 경의선과 동해선 열차시험운행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재정 장관은 23일 MBC 라디오와의 전화인터뷰에서 열차시험운행과 `경공업-지하자원 개발 협력`이 5~6월에 함께 이뤄지도록 맞물려 있어 이번에는 열차시험운행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장관은 또 쌀 차...
[생방송 국정네트워크]
2007.04.23
날개 단 개성공단
한미FTA 타결로 개성공단이 활력을 더해가고 있습니다. 개성공단에서 생산된 제품이 한국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유진향 기자> 개성공단에 입주해 있는 시계 공장입니다. 북한 노동자들이 분주히 손을 놀리며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한미FTA 타결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나날이 활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한미 양측이 역...
[생방송 국정네트워크]
2007.04.23
내달 17일 시험운행
경의선과 동해선 열차의 시험운행이 다음달 17일로 확정됐습니다. 그동안 시험운행의 걸림돌이었던 군사보장조치는 시험운행 전에 마무리 짓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최고다 기자> 예정된 일정을 넘겨서까지 계속됐던 제 13차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노력이 헛되지 않게 기대 이상의 성과를 얻었습니다. 남과 북은 경의선·동해선 열차시험운행을 5월...
[출발! 국정투데이]
2007.04.23
美 방문 BDA 해결방안 협의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방코델타아시아 문제 해결과 2.13 합의 이행을 촉진하기 위해 23일 미국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정부 당국자가 밝혔습니다. 천 본부장은 방미 기간에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 등과 만나 BDA 해결방안을 집중 협의하고 가급적 조기에 2.13 합의를 이행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BDA ...
[출발! 국정투데이]
2007.04.23
약속 지킬 것
22일 막을 내린 제 13차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에서 남북은 다음달 17일 경의선과 동해선 열차를 시험운행하기로 합의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북한에 대한 경공업 원자재 제공 등 많은 경제협력 사업들이 열차시험 운행과 시기적으로 맞물려 있어 이번 만큼은 북한이 약속을 지킬 수 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입니다. 강석민 기자> 남북 경제협력의 상징이자, 우리...
[KTV 국정와이드]
2007.04.23
`정상궤도` 진입
앞서 보도해드린 열차 시험운행외에도 그동안 남북은 이산가족 상봉횟수를 늘렸고 이에 발맞춰 경제협력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최고다 기자> 북핵 2.13합의 직후 재개된 남북장관급회담을 앞두고 우리 정부는 대북정책의 큰 틀로 인도주의적 차원에서의 협력과 경제협력을 꼽았습니다. 그동안 우리정부는 대북정책의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숨가쁘게 내달렸습...
[KTV 국정와이드]
2007.04.23
이재정 통일, `개성공단, 평화산업의 핵심`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개성공단은 중소기업의 미래이고 남북을 이어주는 평화산업의 핵심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23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주최한 `한반도 경제공동체 실현과 개성공단`이란 주제의 강연을 통해 이 같이 말했습니다. 이 장관은 이어 오는 30일 개성공단 분양 공고를 실시하고 6월까지 입주업체를 선정해, 11월 전까지 가능한 많은 기...
[KTV 국정와이드]
2007.04.23
한반도평화특구,개성공단의 현재와 미래
국내에 살고 있는 탈북자 10명 가운데 7명은 취업을 하지 못해 생활이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네. 그렇습니다. 서울대 행정대학원 박상인 교수가 지난해 탈북자 4백여 명을 대상으로 취업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7.9퍼센트가 실직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또 안타까운 것은 탈북자들이 시간이 갈수록 취업 의지를 잃어가고 있...
[통일로 미래로]
2007.04.21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
910
게시물 검색
검색 조건
제목
프로그램명
검색어 입력
검색
인기뉴스
소상공인 빚 최대 90% 감면! '새출발기금' 지원 확대 [클릭K+]
행안부 "행복한백화점 내 임대매장,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정책 바로보기]
농촌 달리는 왕진버스···폭염 어르신 건강 살핀다
해수부 "북극항로 개척 위해선 지금부터 준비해야" [정책 바로보기]
제33회 국무회의 이재명 대통령 모두발언
오늘의 주요 정책소식 (25. 07. 25. 13시)
이 대통령 취임 50일···부산서 대국민 소통 계속
6천 원 할인받고 영화관에서 시원한 여름 보내세요
2025 어린이 안전박람회···"직접 체험하는 안전의 모든 것"
"균형발전, 국가 생존전략으로···해수부 신속 이전"
인기 프로그램
1
인구 감소 함안군, 다양한 '맞춤형 정책' 펼쳐 [아이가 미래다]
2
품위 있는 죽음 준비 '웰다잉' 문화 확산 [노년에 답하다]
3
독일 평화의 소녀상 '그녀의 이름은 평화' 공연
4
외로움 덜어줘요, 서울 '마음편의점' 호응
5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 미래를 설계하는 AI·반도체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