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KTV 편성개방
KTV소개
KTV소식
편성표
정보공개
로그인
모바일
KTV국민방송
검색
검색
검색
채널안내 펼쳐기
IPTV(KT, SKB, LGU+)
64번
스카이라이프
164번
전체메뉴 열기
온 에어
뉴스
주요뉴스
최신뉴스
경제
사회
문화
과학
외교/안보
정책이슈
프로그램
정책
문화/교양
보도
특집
국가기념식
종영
온라인콘텐츠
SNS콘텐츠
카드뉴스
부처 홍보영상
정책브리핑
OTT
이용자 참여
편성개방 안내
시청자 의견
방송소재 제안
영상기증
국민신문고
클린신고센터
공익신고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뉴스
주요뉴스
최신뉴스
경제
사회
문화
과학
외교/안보
정책이슈
프로그램
정책
문화/교양
보도
특집
국가기념식
종영
온라인콘텐츠
SNS콘텐츠
카드뉴스
부처 홍보영상
정책브리핑
OTT
이용자 참여
편성개방 안내
시청자 의견
방송소재 제안
영상기증
국민신문고
클린신고센터
공익신고
온 에어
방송안내
통합검색
KTV 소식
KTV소개
회원관리
정보공개
이용안내
편성개방안내
사이트맵 전체보기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블로그
네이버TV
맨위로 가기 버튼
본문
`한미FTA 역외가공 급속히 시행`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한미FTA의 수혜 대상에 역외가공지역이 포함된 것과 관련해, 실시시기를 한반도역외가공지역위원회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유보했지만 이는 급속히 결론나고 시행이 가능한 합의라고 밝혔습니다.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4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경밀레니엄포럼`에서 `역외가공지역 인정은 개성공단 뿐만 아니라 북한에 제2, 제3의 경제특구를 만들...
재협상 `없다
한미FTA 협상결과에 대한 국회의 검증절차가 시작됐습니다.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통일외교통상위원회 보고를 통해 FTA는 일단 타결되면 재협상은 원칙적으로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김현아 기자>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이 FTA재협상 가능성과 관련해 재협상을 할 수 없다는 것을 미국측에 강하게 전달했다면서 FTA는 일단 타결되면 원칙적으로 재협상은 없다고 강...
부처별 뉴스
부 (19) >
통일부
선택하세요.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국가보훈부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성가족부
외교부
중소벤처기업부
통일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환경부
북한 전역 원산지 인정
한미 FTA 협상의 최대 난제 가운데 하나는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문제였습니다. 이제는 개성공단 뿐 아니라 북한 전역의 제품이 한국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김미정 기자> 8차례의 본협상과 수차례의 고위급 회담에서 한미 양측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했던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문제. 양측은 이문제로 파행에 파행을 격으면서 좀처럼 이견...
[생방송 국정현장]
2007.04.03
북한 전역 원산지 인정
한미 FTA 협상의 최대 난제 가운데 하나였던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문제였습니다. 이제는 개성공단 뿐 아니라 북한 전역의 제품이 한국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김미정 기자> 8차례의 본협상과 수차례의 고위급 회담에서 한미 양측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했던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문제. 양측은 이문제로 파행에 파행을 격으면서 좀처럼 이견을 ...
[출발! 국정투데이]
2007.04.03
북한 전역 원산지 인정
한미 FTA 협상이 2일 극적으로 타결됐습니다. 한미 FTA 협상의 최대 난제 가운데 하나였던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문제,이제는 개성공단 뿐 아니라 북한 전역의 제품이 한국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김미정 기자> 8차례의 본협상과 수차례의 고위급 회담에서 한미 양측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했던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문제. 양측은 이문...
[KTV 국정와이드]
2007.04.02
갈등을 넘어 화해로 - 남북 이산가족 화상상봉 재개
지난 27일부터 3일 동안 이산가족화상상봉 행사가 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반세기가 넘도록 서로 떨어진 채, 이제는 늙고 지쳐서 헤어진 가족을 다시 만날 수 있을까.. 애태우면 기다렸을 텐데요. 이산가족 문제는 우리가 그 무엇보다 반드시 해결해야 할 민족의 숙제입니다. 맞습니다. 통일이야 차차 풀어나가면 되는 문제지만 이산가족은 어느 ...
[통일로 미래로]
2007.03.31
라이스, `내달 北 원자로 폐쇄하게 될 것`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방코델타아시아, BDA 자금의 대북 송금 지연 문제는 집행의 문제이지 정책 이슈는 아니라면서 다음달 중으로 북한이 원자로를 폐쇄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 국무부 웹사이트에 따르면, 라이스 장관은 방송대담 프로그램 진행자인 숀 해너티와의 최근 인터뷰에서 모두가 북한에 관해 회의를 갖고 있으나 북한측은 자신들의...
[생방송 국정네트워크]
2007.03.30
라이스, `내달 北 원자로 폐쇄하게 될 것`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방코델타아시아, BDA 자금의 대북 송금 지연 문제는 집행의 문제이지 정책 이슈는 아니라면서 다음달 중으로 북한이 원자로를 폐쇄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 국무부 웹사이트에 따르면, 라이스 장관은 방송대담 프로그램 진행자인 숀 해너티와의 최근 인터뷰에서 모두가 북한에 관해 회의를 갖고 있으나 북한측은 자신들의...
[KTV 국정와이드]
2007.03.30
경협 가속도
앞으로 북한에 대한 경공업 원자재 지원과 지하자원 개발 협력이 한결 수월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경공업과 지하자원 협력의 실무를 담당할 남북교류지원협회를 설치해 빠르면 다음 달부터 가동할 계획입니다. 최고다 기자> 북한과의 경공업 지하자원 협력을 진행하기 위한 이행기구가 빠르면 다음 달부터 가동됩니다. 통일부는 정례브리핑을 통해 남북교류협력...
[생방송 국정네트워크]
2007.03.29
경협 가속도
앞으로 북한에 대한 경공업 원자재 지원과 지하자원 개발 협력이 한결 수월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경공업과 지하자원 협력의 실무를 담당할 남북교류지원협회를 설치해 빠르면 다음 달부터 가동할 계획입니다. 최고다 기자> 북한과의 경공업 지하자원 협력을 진행하기 위한 이행기구가 빠르면 다음 달부터 가동됩니다. 통일부는 정례브리핑을 통해 남북교류협...
[KTV 국정와이드]
2007.03.29
`북한 식량 100만 톤 부족 시인`
북한이 극심한 식량난에 처했다는 사실을 북한 당국이 처음으로 시인했다고 미국의 소리 방송이 세계식량계획 WFP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미국의 소리 방송은 북한 농업성 부상이 지난 22일부터 닷새간 방북한 WFP 관계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현재 100만 톤 가량의 식량이 부족하다면서 해외에서 식량 원조를 받을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생방송 국정현장]
2007.03.28
이산가족 화상상봉 이틀째
제5차 이산가족 화상상봉이 전국 9개 지역 13개 상봉실에서 이틀째 진행됐습니다. 이번 화상상봉은 서울 남산동 대한적십자사 본사와 각 지역의 지사에 마련된 남측 상봉실과 북한 평양에 설치된 10개 상봉실에서 광전용망으로 연결된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해 이뤄지고 있습니다. 지난 2005년 8월부터 시작된 이산가족 화상상봉은 지난해 2월 제4차까지 모두 27...
[생방송 국정네트워크]
2007.03.28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
910
게시물 검색
검색 조건
제목
프로그램명
검색어 입력
검색
인기뉴스
소상공인 빚 최대 90% 감면! '새출발기금' 지원 확대 [클릭K+]
행안부 "행복한백화점 내 임대매장,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정책 바로보기]
농촌 달리는 왕진버스···폭염 어르신 건강 살핀다
해수부 "북극항로 개척 위해선 지금부터 준비해야" [정책 바로보기]
제33회 국무회의 이재명 대통령 모두발언
오늘의 주요 정책소식 (25. 07. 25. 13시)
이 대통령 취임 50일···부산서 대국민 소통 계속
6천 원 할인받고 영화관에서 시원한 여름 보내세요
2025 어린이 안전박람회···"직접 체험하는 안전의 모든 것"
"균형발전, 국가 생존전략으로···해수부 신속 이전"
인기 프로그램
1
인구 감소 함안군, 다양한 '맞춤형 정책' 펼쳐 [아이가 미래다]
2
품위 있는 죽음 준비 '웰다잉' 문화 확산 [노년에 답하다]
3
독일 평화의 소녀상 '그녀의 이름은 평화' 공연
4
외로움 덜어줘요, 서울 '마음편의점' 호응
5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 미래를 설계하는 AI·반도체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