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택배기사에 분류작업 안맡긴다···'과로방지' 합의
박천영 앵커>
정부와 택배 노사가 오늘 오전 국회에서 과로사 대책 1차 합의문에 서명했습니다.
합의문에는 분류 작업을 택배 노동자의 기본 작업 범위에서 제외하고, 사측이 분류 작업 전담 인력을 투입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또 택배 노동자의 작업시간을 주 최대 60시간·일 최대 12시간을 목표로 하고, 불가피한 사유를 제외하고는 밤 9시 이후 심야 배송...
-
산재 사망사고 감축 추진방향 발표
산재 사망사고 감축 추진방향 발표
이재갑 / 고용노동부 장관
(장소: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
-
찌개 같이 먹는 식습관, 코로나19 확산 불렀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이유리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이유리 팩트체커>
한국의 식습관, ‘한솥밥’문화가 코로나19 확산을 부추겼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찌개나 반찬을 한 곳에 담아놓고 여럿이서 함께 떠먹는 식습관이 음식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우려가 크다는 겁니다.
정말 음식 ...
-
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56만 명에 지급 완료
유용화 앵커>
특수고용직 근로자와 프리랜서 중 1·2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을 받은 56만 명에게 3차 지원금 지급이 완료됐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11일부터 오늘 오전까지 전체 지급대상자에게 각 50만 원씩 2천791억 원을 지급했다고 밝혔습니다.
계좌이체 중 오류가 발생해 아직 지급되지 않은 일부에 대해서는 계좌정보를 다시 확인해 이른 시일 안에 지...
-
'대출상환 유예' 끝나면 원리금 몰아서 갚아야 한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이유리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이유리 팩트체커>
코로나19 사태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도 큰 타격이 가해졌습니다.
정부는 이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덜기 위해 금융회사 대출의 원금 상환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상환도 유예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습니다.
지난...
-
22일부터 특고·프리랜서 고용안정지원금 신규 신청
유용화 앵커>
정부가 1, 2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을 받은 특수고용직 종사자와 프리랜서에게 3차 지원금을 지급한 데 이어, 1, 2차 수급자가 아닌 5만 명을 대상으로 22일부터 접수를 시작합니다.
자세한 내용, 이리나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리나 기자>
제3차 고용안정지원금의 신규수급자 5만 명에 대한 신청 접수가 오는 22일부터 시작됩니다....
-
3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31만 4천명에 지급
유용화 앵커>
고용노동부는 1,2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수급자에 대한 3차 지원금 지급이 절반 이상 진행됐다고 밝혔습니다.
고용부에 따르면 지급이 시작된 지난 11일부터 전체 지급 대상 중 56% 인 31만 여명에게 각 50만원이 지급됐다고 밝혔습니다.
온라인을 통한 신청자에게는 계좌이체 중 오류가 발생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급이 완료됐고, 13일부터는...
-
22일부터 특고·프리랜서 고용안정지원금 신규 신청
김용민 앵커>
정부가 1,2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을 받은 특수고용직 종사자와 프리랜서에게 3차 지원금을 지급한 데 이어 1,2차 수급자가 아닌 5만 명을 대상으로 22일부터 접수를 시작합니다.
자세한 내용, 이리나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리나 기자>
제3차 고용안정지원금의 신규수급자 5만 명에 대한 신청 접수가 오는 22일부터 시작됩니다.
내일(...
-
8~10일 신청 특고·프리랜서에 3차 지원금 지급
임보라 앵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특수고용직 종사자와 프리랜서를 대상으로 1인당 50만원을 지원하는 3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지급이 계속됩니다.
고용노동부는 어제(11일) 14만6천여 명에게 지원금을 지급한데 이어 오늘부터는 지난 8∼10일 지원금을 신청한 4만명에게는 지원금이 지급된다고 밝혔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오는 15일 1∼2차 지원금을 ...
-
육아휴직제도 강화···임금 지원 확대 [정책인터뷰]
정희지 앵커>
갈수록 심각해지는 저출산 문제는 국가의 최우선 과제인데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근로자의 임금 지원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육아휴직제도를 강화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김세진 국민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정부가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대폭 강화한 육아휴직제도, 많은 분들의 관심을 갖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