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8.15 광복, 평화와 번영의 시작
광복 80년을 맞이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빛나는 순간들을 기억하는 특집 다큐멘터리로 대한민국 독립의 순간, 나라를 되찾는다는 목적을 가지고 우리나라가 광복을 맞이하게 된 순간부터 해방 후의 모습을 전문가 인터뷰를 비롯해서 당시 시대를 살아왔던 사람들의 목소리로 그날의 모습을 기억하고자 한다. 더불어 오늘을 살아가는 이들이 생각하는 광복 80년은 어떠한 모습인지 그래피티 작가 레오다브와 태극기 서명문 행사 참여자들을 통해 보여준다.

1. 프롤로그 & 해방둥이 합창단
- '해방둥이'들이 모여 만든 해방둥이 합창단의 이야기
- 눈부신 발전을 이룬 대한민국의 역사
- 대한민국 번영의 시작점, 80년 전 해방의 순간은 어떤 풍경이었을까?

2. D-day: 해방이 된 그날, 우리나라는 어땠을까?
- 1945년 8월 15일. 누구도 예측하지 못했던 해방의 순간
- 일제는 왜 '항복'이란 단어 대신 '종전'을 선택했을까?
- 일제 패망까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
- 광복 닷새 전, 해방을 먼저 알게 된 대한민국 임시정부
- 해방 당시 초등학생이었던 유종호 씨가 이야기하는 그날의 기억
- 몽양 여운형과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엔도 류사쿠의 협상
-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탄생

3. D+1 8월 16일: 해방을 실감한 조선 사람들
- 여운형의 휘문중학교 연설로 드디어 터져 나온 '만세' 소리
- 역사 수집가 박건호의 소장품 '건준 포고문'과 '독립 행진곡'으로 되짚어 보는 그날의 감격

4. D+2 8월 17일: 조선을 떠나려는 일본인들
-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놓지 않으려던 일제의 마지막 몸부림
- 조선을 떠나기 전, 재산을 처분하려는 일본인들
- 역사학자 김성칠 씨의 일기로 보는 해방 직후 일본인들의 상황
- 8월 17일, 조선을 떠나던 배 한 척이 회항한 이유
- 미군정의 한반도 진주와 38선을 경계로 갈라진 남과 북

5. D+7 8월 22일: 고국으로 돌아온, 돌아오지 못한 조선인들
- 강제 징병 되어 소련군 포로가 되었던 김종옥 씨의 귀향 이야기
- 끝내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우키시마호 사건

6. D+25 9월 9일: 되찾은 한글과 태극기
- 경성방송국에서 시작된 우리말 방송
- 광복 당시 초등학생이었던 유종호 씨가 기억하는 첫 한글 수업
- 일제의 잔재를 없애고, 한국의 역사를 가르치기 시작한 교실의 변화
- 해방의 상징, 일장기를 재활용해 만든 태극기
- 손기정 선수, 해방된 조국에서 태극기를 든 채 흘린 눈물

7. 대한민국 역사와 함께한 79번의 광복절
- 매년 다양한 모습으로 치러진 광복절 기념행사들
- 1995년, 광복 50주년을 맞아 조선총독부 중앙청사 해체

8. 광복 80년을 맞은 오늘날, 우리가 광복을 기념하는 방법
- 현대적인 감각으로 독립운동가를 되살리는 그라피티 예술가 '레오다브'
- 다양한 시민들이 참여한 '태극기 서명문' 행사, 이들이 말하는 광복의 의미

9. 에필로그
- 광복을 직접 경험한 이들이 말하는 '광복'의 의미
- 대한민국의 역사를 온몸으로 살아낸 해방둥이가 젊은 세대에게 전하는 한마디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광복 80년: 「빛나는 시간들 대한민국 영광의 20장면」 더보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