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롤로그 & 해방둥이 합창단
- '해방둥이'들이 모여 만든 해방둥이 합창단의 이야기
- 눈부신 발전을 이룬 대한민국의 역사
- 대한민국 번영의 시작점, 80년 전 해방의 순간은 어떤 풍경이었을까?
2. D-day: 해방이 된 그날, 우리나라는 어땠을까?
- 1945년 8월 15일. 누구도 예측하지 못했던 해방의 순간
- 일제는 왜 '항복'이란 단어 대신 '종전'을 선택했을까?
- 일제 패망까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
- 광복 닷새 전, 해방을 먼저 알게 된 대한민국 임시정부
- 해방 당시 초등학생이었던 유종호 씨가 이야기하는 그날의 기억
- 몽양 여운형과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엔도 류사쿠의 협상
-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탄생
3. D+1 8월 16일: 해방을 실감한 조선 사람들
- 여운형의 휘문중학교 연설로 드디어 터져 나온 '만세' 소리
- 역사 수집가 박건호의 소장품 '건준 포고문'과 '독립 행진곡'으로 되짚어 보는 그날의 감격
4. D+2 8월 17일: 조선을 떠나려는 일본인들
-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놓지 않으려던 일제의 마지막 몸부림
- 조선을 떠나기 전, 재산을 처분하려는 일본인들
- 역사학자 김성칠 씨의 일기로 보는 해방 직후 일본인들의 상황
- 8월 17일, 조선을 떠나던 배 한 척이 회항한 이유
- 미군정의 한반도 진주와 38선을 경계로 갈라진 남과 북
5. D+7 8월 22일: 고국으로 돌아온, 돌아오지 못한 조선인들
- 강제 징병 되어 소련군 포로가 되었던 김종옥 씨의 귀향 이야기
- 끝내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우키시마호 사건
6. D+25 9월 9일: 되찾은 한글과 태극기
- 경성방송국에서 시작된 우리말 방송
- 광복 당시 초등학생이었던 유종호 씨가 기억하는 첫 한글 수업
- 일제의 잔재를 없애고, 한국의 역사를 가르치기 시작한 교실의 변화
- 해방의 상징, 일장기를 재활용해 만든 태극기
- 손기정 선수, 해방된 조국에서 태극기를 든 채 흘린 눈물
7. 대한민국 역사와 함께한 79번의 광복절
- 매년 다양한 모습으로 치러진 광복절 기념행사들
- 1995년, 광복 50주년을 맞아 조선총독부 중앙청사 해체
8. 광복 80년을 맞은 오늘날, 우리가 광복을 기념하는 방법
- 현대적인 감각으로 독립운동가를 되살리는 그라피티 예술가 '레오다브'
- 다양한 시민들이 참여한 '태극기 서명문' 행사, 이들이 말하는 광복의 의미
9. 에필로그
- 광복을 직접 경험한 이들이 말하는 '광복'의 의미
- 대한민국의 역사를 온몸으로 살아낸 해방둥이가 젊은 세대에게 전하는 한마디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