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고용유지지원금 사각지대 해소···파견·용역지원 강화
박천영 앵커>
경영난을 겪는 사업자들은, 정부의 지원금으로 근로자들의 고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정부가 지원 요건을 완화하긴 했지만 파견이나 용역 근로자, 10인 미만의 기업은 여전히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목소리가 있었는데요, 정부가 관련 제도를 개선했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사업주가 경영난 속에서 근로자 감원 대...
-
내년도 일자리안정자금 1조 2천900억 원 지원
박천영 앵커>
일자리 안정자금은 영세 사업주의 부담을 줄여주고, 노동자의 고용안정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내년도,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은 1조 2천 900억원 규모로 이뤄집니다.
최영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영은 기자>
강원도 원주시의 한 청소 업체는 아르바이트생의 잦은 이직으로 구인난에 시달렸지만 일자리 안정자금을 통해 4대 보험에 가...
-
플랫폼 종사자 보호 입법···표준계약서 보급 확대
유용화 앵커>
정부가 배달 기사 같은 '플랫폼 종사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플랫폼 종사자 보호와 지원을 위한 법 제정을 추진하고, '표준계약서 보급'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배달기사와 같이 플랫폼을 매개로 일하는 플랫폼 종사자는 179만 명에 달합니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개인 사업자 ...
-
플랫폼 종사자 보호 입법···표준계약서 보급 확대
김용민 앵커>
정부가 배달기사와 같은 플랫폼 종사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플랫폼 종사자 보호와 지원을 위한 법 제정을 추진하고, 표준 계약서 보급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배달기사와 같이 플랫폼을 매개로 일하는 플랫폼 종사자는 179만 명에 달합니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개인 사업자 신분으로 ...
-
플랫폼 종사자 보호 입법···표준계약서 보급 확대
박천영 앵커>
요즘 배달, 많이들 이용하시죠,
배달기사, 이른바 플랫폼 종사자들을 위한 보호 대책이 발표됐습니다.
정부는 법 제정을 추진하고, 표준계약서 보급도 확대합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배달기사와 같이 플랫폼을 매개로 일하는 플랫폼 종사자는 179만 명에 달합니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개인 사업자 신분으로 일하고 있어...
-
플랫폼 종사자 보호대책 관련 고용노동부 브리핑
플랫폼 종사가 보호대책 관련 고용노동부 브리핑
이재갑 / 고용노동부 장관
(장소: 고용노동부 브리핑룸)
-
플랫폼 종사자 보호입법 추진···표준계약서 보급 확대
최대환 앵커>
정부가 배달기사와 같은 플랫폼 종사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플랫폼 종사자 보호와 지원을 위한 법 제정을 추진하고, 공정한 계약 관행을 위해 표준계약서 보급도 확대하기로 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문기혁 기자, 소식 전해주시죠.
문기혁 기자 / 정부서울청사>
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
내년 5060 퇴직자 사회공헌 일자리 제공
임소형 앵커>
정부가 내년 50대에서 60대 퇴직자 1만 1천700명에게 사회공헌 활동을 할 수 있는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고용노동부는 신중년 사회공헌 사업 내년 시행계획을 발표하고 예산 161억 원을 투입해 초등학교 감염병 예방 지원, 취약계층 금융상담 등 일자리를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사회공헌 활동은 연간 720시간까지 할 수 있고 시간당 2천 ...
-
중소기업 근로자도 학업 위해 근무시간 단축
신경은 앵커>
내년부터는 중소기업 근로자도 임신, 육아, 학업 등을 이유로 사업주에게 '근무 시간 단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내년부터 '근로시간 단축 청구권' 제도가 30인에서 299인 사업장에 확대 적용됩니다.
'근로시간 단축 청구권'은 근로자가 사업주에게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
중소기업 근로자도 학업 위해 근무시간 단축
박천영 앵커>
내년부터는 중소기업 근로자도 임신과 육아, 학업 등을 이유로 사업주에게 근무 시간 단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른 '근로시간 단축 청구권' 제도가 내년부터 30인에서 299인 사업장까지 확대 적용됩니다.
근로시간 단축 청구권은 근로자가 가족돌봄과 건강, 은퇴준비 등을 위해 일정 범위 내에서 근로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