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택배기사 과로 막는다···하루 작업 '10시간 제한'
박천영 앵커>
최근 과로사로 추정되는 택배기사 사망사고가 잇따르자 정부가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하루 작업시간 한도를 정하고 밤 10시 이후, 심야배송 제한을 권고합니다.
임소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임소형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택배 물량이 급격히 늘면서 올해 들어 택배기사 10명이 숨졌습니다.
택배기사 사망사고가 잇따르자 정부가 재발 방지를...
-
택배기사 과로 막는다···하루 작업 '10시간 제한'
유용화 앵커>
최근 과로사로 추정되는 택배기사 사망사고가 잇따르자 정부가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신경은 앵커>
'하루 작업시간 한도'를 정하고, 밤 10시 이후 '심야배송'을 제한하기로 했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택배 물량이 급격히 늘면서 올해 들어 택배기사 10명이 숨졌습니다.
택배기사 사...
-
작업시간 한도·심야배송 제한···택배기사 과로 방지 [오늘의 브리핑]
신경은 앵커>
택배 기사들의 잇단 과로사를 막기 위해 '택배기사 과로 방지대책'이 발표됐는데요.
'하루 최대 작업시간'을 정하고, '심야배송'도 제한하기로 했습니다.
오늘의 브리핑, 함께 보시죠.
이재갑 / 고용노동부 장관
(장소: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룸)
택배기사의 장시간, 고강도 노동방지를 위해 사업주 조치의 의무를 구체화하고, 직...
-
택배기사 과로 막는다···하루 작업 '10시간 제한'
김용민 앵커>
최근 과로사로 추정되는 택배기사 사망사고가 잇따르자 정부가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하루 작업시간 한도를 정하고 밤 10시 이후 심야 배송을 제한하기로 했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택배 물량이 급격히 늘면서 올해 들어 택배기사 10명이 숨졌습니다.
택배기사 사망사고가 잇따르자 정부가 재발 방지를 위...
-
택배기사 과로방지 대책 관계부처 합동브리핑
택배기사 과로방지 대책 관계부처 합동브리핑
이재갑 / 고용노동부 장관
김현미 / 국토교통부 장관
백승근 /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장
김대환 /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관
송상민 / 공정거래위원회 시장감시국장
(장소: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룸)
-
'숙련기술체험관' 개관···"꿈 키워나가도록 지원"
유용화 앵커>
고용노동부와 한국 잡월드는 오늘 오후, '숙련기술체험관 개관식'을 열었습니다.
'숙련기술체험관'은 숙련 기술과 4차 산업혁명시대 신기술이 융합된 기술 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지난해 3월 공사를 시작해 올해 7월 완공됐습니다.
행사에 참석한 이재갑 고용부 장관은 "미래 세대인 청소년들이 숙련기술이 바탕이 된 첨단기술을 체험하고, 기술 분야...
-
공정위 과징금 수납률 불과 34%?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이유리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이유리 팩트체커>
'공정위의 과징금 수납률 34퍼센트에 불과하다' 최근 한 언론의 보도입니다.
공정위가 지난 1월에서 8월 사이 부과한 과징금 중 걷어들인 건 반도 채 되지 않는다는 말인데요.
그러나 공정위는 적극적인 수납을 ...
-
고용부 "특수고용직 85% 고용보험 가입 희망"
유용화 앵커>
보험설계사, 학습지교사 등 특수고용직 종사자 대부분은 고용보험 가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고용보험 가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85.2%에 달했고, 고용보험료 분담 비율 역시 87.3%가 사업주와 절반씩 부담해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번 설문조사는 올해 7월부터 1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
"노동관계법 개정돼도 크게 달라지는 것 없어"
신경은 앵커>
최근 '국제노동기구의 핵심 협약 비준'을 위한 '노동관계법 개정안'이 마련됐는데요.
노사 양측 모두, 이해에 따라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개정안이 통과된다고 해도, 크게 달라지는 게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김용민 기자입니다.
김용민 기자>
국제 노동기구 ILO 핵심협약은 187개 회원국 가운데 146개 나라가 비준하고 있...
-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세···공공행정 20만 명 급증
임보라 앵커>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6만4천 명 늘어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공공행정에서 20만 명 정도 크게 늘었는데 정부 일자리사업의 효과로 보입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10월 고용보험 가입자는 1천423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6만4천 명 늘었습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월별 증가 폭이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