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주 52시간제 1년···"근무시간 13.5분 감소"
임보라 앵커>
주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 지 1년이 조금 넘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실제로 근무시간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300인 이상 기업과 공공기관에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된 지 1년여.
직장인들의 회사 생활과 여가 활동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고용노동부가 케이티와 비씨카드...
-
주 52시간제 1년···"근무시간 13.5분 감소"
신경은 앵커>
'주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 지 1년이 조금 지났는데요.
빅데이터 분석 결과, 실제로 근무 시간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300인 이상 기업과 공공기관에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된 지 1년여.
직장인들의 회사 생활과 여가 활동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고용노동부가 케이티와 ...
-
주 52시간제 1년···"근무시간 13.5분 감소"
김용민 앵커>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 지 1년이 조금 넘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실제로 근무시간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300인 이상 기업과 공공기관에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된 지 1년여.
직장인들의 회사 생활과 여가 활동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고용노동부가 케이티와 비씨카...
-
국민취업지원제도 시행···저소득 구직자에 300만 원
임보라 앵커>
저소득 구직자를 위한 고용안전망, 국민취업지원제도 법률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습니다.
내년 7월부터 저소득 구직자에게 최장 6개월 동안 월 50만원 씩 지급될 예정입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국민취업지원제도 법률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습니다.
내년 7월부터 저소득 구직자에게 월 50만원 씩 최장 6개월 동안 구직촉진...
-
국민취업지원제도 시행···저소득 구직자에 300만 원
유용화 앵커>
저소득 구직자를 위한 고용 안전망, 국민 취업 지원 제도 법률안이 국무 회의에서 의결됐습니다.
내년 7월부터 저소득 구직자에게 최장 6개월 동안 월 50만원 씩 지급될 예정입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국민취업지원제도 법률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습니다.
내년 7월부터 저소득 구직자에게 월 50만원 씩 최장 6개월 동안...
-
국민취업지원제도 시행···저소득 구직자에 300만 원
김용민 앵커>
저소득 구직자를 위한 고용안전망, 국민취업지원제도 법률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습니다.
내년 7월부터 저소득 구직자에게 최장 6개월 동안 월 50만원 씩 지급될 예정입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국민취업지원제도 법률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습니다.
내년 7월부터 저소득 구직자에게 월 50만원 씩 최장 6개월 동안 구직촉진...
-
사회적기업 69곳 추가···2천306개 인증
임보라 앵커>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면서 기업 활동도 하는 회사를 사회적기업 이라고 하죠.
정부가 걷기 기부앱 개발사와 정원산업 협동조합 등 69곳을 사회적기업으로 추가 인증했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걷는 것만으로 기부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 기업입니다.
스마트폰 앱을 내려받아 작동시키면, 10미터를 걸을...
-
사회적기업 69곳 추가···2천306개 인증
신경은 앵커>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며 기업 활동도 함께 하는 회사를 '사회적 기업' 이라고 하죠.
정부가 걷기 기부앱 개발사와 정원 산업 협동 조합 등 69곳을 사회적 기업으로 추가 인증했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걷는 것만으로 기부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 기업입니다.
스마트폰 앱을 내려받아 작동시키면, ...
-
지역사회통합돌봄 확대···지자체 16곳 참여
신경은 앵커>
6월부터 '지역 통합 돌봄 선도 사업'이 시행되고 있는데요.
지난달 국회에서 추경이 통과되면서, 선도 사업 시행 지역이 늘어납니다.
박천영 기자입니다.
박천영 기자>
1. 통합돌봄, 16개 지역으로 확대
고혈압과 당뇨, 뇌졸중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60대 A씨.
함께 사는 가족은 없고 거동도 불편해 외출은 물론이고, 식사 ...
-
공동근로복지기금 활성화···대-중소기업 격차 완화
김유영 앵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과 복지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공동근로 복지기금 제도 활성화가 추진됩니다.
고용노동부와 중소벤처기업부, 동반성장위원회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제도 활성화를 위한 재정 지원 확대 등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혁신주도형 임금격차 해소운동'을 확산시키고, 중소기업 생산성 제고를 위한 스마트공장 도입 지원 등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