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더욱 확산돼야"
임소형 앵커>
가정의 달, 5월에는 정부가 '워라밸'을 실천한 우수기업을 선정하는데요.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이 우수사업장을 직접 방문해 일과 생활의 균형을 강조했습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용민 기자>
1년 6개월 차 신혼을 만끽하고 있는 하인호 씨.
현재 임신 중인 아내와 매번 정기검진을 함께합니다.
이 회사에서 운영 중인 일과...
-
'다양한 사회문제 고민·해결' 사회적기업 창업 지원대책은?
임보라 앵커>
고용노동부는 올해 두 번째로 사회적기업 인증 심사를 통해 65개 기관을 새로 인증했습니다.
이로써 국내 사회적기업은 총 2201개로 늘었는데요.
취약계층 고용과 사회문제 해결 등을 조직의 주된 목적으로 삼는 사회적기업,국내 사회적기업의 현황과 지원 대책에 대해 고용노동부 오은경 사회적기업과장과 자세한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출...
-
공공부문 비정규직→정규직 전환···"연봉 390만원 늘어"
신경은 앵커>
정부의 공공 부문 정규직화 정책으로, 정규직 전환 노동자의 연봉이 평균 390만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자의 만족도 및 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정규직으로 전환된 공공 부문 노동자 1인당 평균 연봉은 2천 783만원으로, 이전보다 390만원 늘었습니다.
또 406개 기관의 기간제 노동자가 정규직 전환으로 평균...
-
공공부문 비정규직→정규직 전환···"연봉 390만원 늘어"
신경은 앵커>
정부의 공공부문 정규직화 정책으로,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노동자의 연봉이 평균 390만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자의 만족도 및 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정규직으로 전환된 공공 부문 노동자 1인당 평균 연봉은 2천 783만원으로, 이전보다 390만원 늘었습니다.
또 406개 기관의 기간제 노동자가 정규...
-
구직급여 지급액 7천억원 돌파···"고용보험가입자 증가 영향"
유용화 앵커>
구직급여가 지난달 처음으로 7천억원을 넘어섰습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7천 382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5.4% 증가했는데 월별 구직급여 지급액이 7천억원을 넘어선 것은 처음입니다.
지난달 구직급여 수급자는 52만명으로, 작년 4월보다 14.2% 증가했습니다.
구직급여 지급액과 수급자가 큰 폭으로 증...
-
"방송업 등 주 52시간 현장안착 지원"
임소형 앵커>
노동시간 특례제외업종 가운데 파업을 예고한 노선버스, 방송업 등은 여전히 주 52시간 근무 초과 비율이 높은 상황인데요.
정부는 빠른 현장 안착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입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용민 기자>
기존 26개의 노동시간 특례업종은 올해 3월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5개로 축소됐습니다.
이를 제외한 21개의...
-
"최저임금 결정 합리성·공정성 높일 것"
임소형 앵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최저임금 결정 과정에서, 합리성과 공정성을 높이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달 말까지 최저임금 위원장과 공익위원 위촉 절차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보도에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지난 2017년 6천740원이던 최저임금은 올해 8천350원까지 올랐습니다.
최근 2년간 최저임금 인상...
-
"방송업 등 주52시간 현장안착 지원"
임보라 앵커>
주52시간제가 시행되면서 정부가 기존 특례업종 26개 가운데 21개 업종을 제외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특례제외 업종 가운데 파업을 예고한 노선버스, 방송업 등 일부 사업장의 경우 여전히 주52시간 초과 비율이 높은 상황인데요.
정부는 빠른 현장 안착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는 방침입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용민 기자>
...
-
"최저임금 결정 합리성·공정성 높일 것"
임보라 앵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앞으로 최저임금 결정과정에서 합리성과 공정성을 높이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공식 사퇴의사를 밝힌 최저임금위원장과 공익위원 자리는 이달 말까지 위촉절차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지난 2017년 6천740원이던 최저임금은 올해 8천350...
-
"방송업 등 주 52시간 현장안착 지원"
유용화 앵커>
주 52시간제가 시행되면서 정부는 기존 특례업종 26개 가운데 21개의 업종을 제외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특례제외 업종 가운데 파업을 예고한 노선버스, 방송업 등 일부 사업장의 경우 여전히 주52시간 초과 비율이 높은 상황인데요.
정부는 빠른 현장안착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는 방침입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용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