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이동 여성근로자들의 쉼터 '이어쉼' [국민리포트]
정해진 업무 공간이 없이 계속 이동하면서 일해야 하는 여성 근로자들은 마땅히 쉴 곳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요.
서울시에서 이동 여성근로자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지혜영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보험설계사로 일하고 있는 주부 박수진 씨.
박 씨는 요즘 회사 인근 여성인력개발센터의 이어쉼을 자주 이용합니다...
-
IT 건전 콘텐츠…어르신이 지킨다 [국민리포트]
젊은 세대의 무대로 여겨졌던 정보 통신 분야에 어르신들이 맹활약하고 있습니다.
유해 콘텐츠모니터링 업무인데 어르신들은 일자리에 대한 만족감과 건전한 통신을 만든다는 자부심도 대단합니다.
남현경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어르신들이 꼼꼼하게 컴퓨터를 지켜보고 있습니다.
인터넷 유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이른바 'IT 보안관'입니다....
-
제조 중소기업 인턴, 정규직되면 300만원 지원
정부가 청년들의 중소기업 장기근속과 빠른 정규직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중소기업 청년인턴제를 개편했습니다.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인턴은 최대 3백만 원의 취업지원금을 받게 되는데요.
임상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만 15살에서 34살 이하 미취업 청년이 중소기업의 인턴 과정을 거쳐 정규직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청년과 기업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
-
IT 건전 콘텐츠…어르신이 지킨다 [국민리포트]
젊은 세대의 무대로 여겨졌던 정보 통신 분야에 어르신들이 맹활약하고 있습니다.
유해 콘텐츠모니터링 업무인데 어르신들은 일자리에 대한 만족감과 건전한 통신을 만든다는 자부심도 대단합니다.
남현경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어르신들이 꼼꼼하게 컴퓨터를 지켜보고 있습니다.
인터넷 유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이른바 'IT 보안관'입니다....
-
올해 일자리 창출 활성화 방안은? [라이브 이슈]
진정한 복지’는 일자리 창출이란 말이 있습니다.
이러한 일자리 창출에 정부도 올해 14조원이 넘는 돈을 투입할 계획인데요,
올해 일자리 창출 활성화를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방안은 무엇인지 모색해보겠습니다.
허재준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정책연구본부장 자리하셨습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이렇게 달라집니다…바뀌는 '고용 정책'
새해부터 달라지는 정책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2015년부터는 고령자를 위한 고용지원금 지원기간이 3년 더 연장되는 등 고용정책에도 많은 변화가 있는데요,
김유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내년엔 최저임금액이 시간당 5,580원으로 인상됩니다.
이는 올해보다 7%가량 인상된 것으로 일급으로 따지면, 44,640원, 월 1백16만6천2백20원...
-
이렇게 달라집니다…바뀌는 '고용 정책'
새해부터 달라지는 정책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2015년부터는 고령자를 위한 고용지원금 지원기간이 3년 더 연장되는 등 고용정책에도 많은 변화가 있는데요,
김유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내년엔 최저임금액이 시간당 5,580원으로 인상됩니다.
이는 올해보다 7%가량 인상된 것으로 일급으로 따지면, 44,640원, 월 1백16만6천2백20원...
-
이렇게 달라집니다…바뀌는 '고용 정책'
새해부터 달라지는 정책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2015년부터는 고령자를 위한 고용지원금 지원기간이 3년 더 연장되는 등 고용정책에도 많은 변화가 있는데요,
김유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내년엔 최저임금액이 시간당 5,580원으로 인상됩니다.
이는 올해보다 7%가량 인상된 것으로 일급으로 따지면, 44,640원, 월 1백16만6천2백20원...
-
정부, '비정규직 종합대책안' 마련
정부가 '비정규직 종합대책안'을 마련하고 이를 노사정위원회에 제출했습니다.
노사정위에서는 공식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브리핑 주요 내용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권영순 /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
□ 정부가 생각하는 노동시장 구조개혁의 핵심은 3가지 방향이다.
① 첫째, 일자리를 줄이지 않으면서 근로자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제도와 관행의 개...
-
비정규직 격차 '줄이고' 고용 안정성은 '높이고'
앞서 전해드린 정부의 비정규직 종합대책의 주요 내용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정부가 마련한 대책의 핵심은 비정규직 격차를 줄이고, 고용안정선을 높이는데 중점을 뒀는데요, 계속해서 이충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저임금 비정규직의 처우개선과 사회안전망 강화는 정부가 마련한 고용형태별 맞춤형 대책의 핵심 내용입니다.
먼저 물가상승률과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