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중대재해처벌법, 경영책임자 고의 없어도 형사 책임 묻는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최유선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최유선 팩트체커>
1. 중대재해처벌법, 경영책임자 고의 없어도 형사 책임 묻는다?
오는 1월부터 중대재해 사고 예방을 위한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는데요.
그런데 최근 한 언론이 경영책임자의 고의가 없어도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형...
-
고령층 3차 접종, 반드시 사전예약 해야 한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최유선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최유선 팩트체커>
1. 고령층 3차 접종, 반드시 사전예약 해야 한다?
‘예약없이 코로나 백신 맞을 수 있다, 병원가니 예약하고 와라’
최근 한 언론이 보도한 기사 제목입니다.
정부에서 60세 이상 고령층은 인플루엔자 백신 ...
-
'육아휴직 지원금'···근로자 1명당 월200만 원
박천영 앵커>
내년부터 근로자에게 육아휴직을 주는 중소기업에, 휴직 첫 3개월간 월 200만 원의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고용노동부는 새해 예산안에 중소기업에 주는 육아휴직 지원금이 포함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에따라 생후 12개월 이내 자녀에 대한 육아휴직 근로자가 있는 중소기업은 첫 3개월간 근로자 1명당 월 200만 원을 받고 이후에는 월 30만 원을...
-
'육아휴직 지원금'···근로자 1명당 월200만 원
김경호 앵커>
내년부터 근로자에게 육아휴직을 주는 중소기업은 휴직 첫 3개월간 육아휴직 근로자 1인당 월 200만 원을 지원받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새해 예산안에 중소기업에 주는 육아휴직 지원금이 포함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에따라 생후 12개월 이내 자녀에 대한 육아휴직을 쓰는 근로자를 둔 중소기업은 첫 3개월간 근로자 1명당 월 200만 원을 받고 이후...
-
지난달 사업체 종사자 18만8천명↑···증가폭 가장 작아
박천영 앵커>
국내 사업체 종사자가 8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마지막 영업일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국내 사업체의 전체 종사자 수는 1천900만2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8만8천 명 늘었습니다.
다만, 증가 폭은 증가로 돌아선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고 코로나1...
-
코로나 백신 추가접종이 더 아프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최유선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최유선 팩트체커>
1. 코로나 백신 추가접종이 더 아프다?
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를 꺼리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2차 접종 때 이상 반응으로 고생했다며 추가접종은 더 아플테니 맞지 않겠다는 건대요.
실...
-
석면해체작업 감독 강화···하도급 금지 추진
신경은 앵커>
'광주 붕괴 참사'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해, '석면해체작업관리'가 강화됩니다.
일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업체는 등록을 취소하고, '하도급 금지'를 위한 법 개정도 추진됩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지난 6월 광주 학동 붕괴사고 당시 석면해체작업 하도급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석면해체작...
-
석면해체작업 감독 강화···하도급 금지 추진
박천영 앵커>
광주 붕괴참사와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해, 정부가 석면해체작업에 대한 관리를 보다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일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업체는 즉시 등록을 취소하고, 석면해체작업의 하도급 금지를 위해 법 개정도 추진합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지난 6월 광주 학동 붕괴사고 당시 석면해체작업 하도급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있던...
-
2030대 고용회복 이면엔 ‘단기알바’ 사상 최대?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고용 시장에 미치는 여파가 큽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코로나19 백신접종이 확대되고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취업자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요.
하지만, 일각에서는 겉보기 고용지표는 나아졌지만 고용의 질은 악화 됐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미래고용분...
-
특고 고용보험 50만 명···전국민 고용보험 속도
박성욱 앵커>
고용보험에 가입한 특수고용직 종사자가 5개월 만에 50만 명이 넘었습니다.
고용부는 연말까지 사업장 가입 신고 기간을 연장하는 등 안착 노력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지난 7월부터 특수고용직 종사자도 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됐습니다.
고용보험 가입 대상인 특고 종사자는 보험설계사와 택배기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