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외교/안보
-
딥시크 사용 '주의' 당부···주요국 대응 협력
최대환 앵커>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을 빚어온 중국산 인공지능 딥시크를 차단하는 사례들이 세계 곳곳에서 확인되고 있는데요.개인정보 보호위원회가 딥시크의 개인정보 처리 방식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시작했다고 밝히고,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사용에 신중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신국진 기자입니다.신국진 기자>저비용으로도 오픈AI사의 챗 GPT와 비슷한 성능을 ...
-
올해 예비군훈련 다음 달 4일 시작
모지안 앵커>올해 예비군 훈련이 다음 달 4일부터 전국 160개 훈련장에서 시행됩니다.국방부는 올해부터 기존 동원훈련이 동원훈련Ⅰ형으로, 동미참훈련이 동원훈련Ⅱ형으로 명칭이 변경된다고 밝혔습니다.또 예비군 훈련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동원훈련Ⅱ형의 경우 하루 만 원, 지역예비군훈련 대상자에게는 작계훈련 교통비로 1회 3천원이 지급됩니다.
-
최 권한대행, 합참 첫 방문···"어떤 도발에도 즉각 대응"
임보라 앵커>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함참지휘통제실을 방문해 군사대비태세를 점검했습니다.최 권한대행은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즉각 대응할 수 있는 태세를 유지할 것을 지시했습니다.문기혁 기자입니다.문기혁 기자>(장소: 7일, 합동참모본부)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합동참모본부를 찾았습니다.최 권한대행은 합참 지휘통제실에서 회의를 열고 군사대비태세를 점검했습니...
-
딥시크 사용 '주의' 당부···주요국 대응 협력
임보라 앵커>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을 빚어온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를 차단하는 사례들이 세계 곳곳에서 등장하고 있는데요.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딥시크 서비스 관련 주요 문서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시작했고,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사용에 주의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신국진 기자입니다.신국진 기자>저비용으로도 오픈AI사의 챗 GPT와 비슷한 성능을 낸다는 점...
-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점등 [외신에 비친 한국]
박유진 외신캐스터>외신에 비친 한국, 첫 번째 소식입니다.1.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점등올해는 한국과 일본이 국교를 정상화한 지 6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양국 외교부는 다양한 행사를 추진할 예정인데요.동시 점등식도 진행됩니다.자세히 보시죠.일본 <산케이 신문>은 오는 2월 15일, 1965년 성립된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
-
올해 예비군훈련 다음 달 4일 시작
김경호 앵커>올해 예비군 훈련이 다음 달 4일부터 전국 160개 훈련장에서 시행됩니다.국방부는 올해부터 기존 동원훈련이 동원훈련Ⅰ형으로, 동미참훈련이 동원훈련Ⅱ형으로 명칭이 변경된다고 밝혔습니다.또 예비군 훈련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동원훈련Ⅱ형의 경우 하루 만 원, 지역예비군훈련 대상자에게는 작계훈련 교통비로 1회 3천원이 지급됩니다.
-
정부 부처 '딥시크' 등 생성형 AI 접속 차단
김용민 앵커>정부 부처들이 '딥시크' 등 생성형 AI 접속 차단 조치에 나섰습니다.김현지 앵커>외교, 안보, 통상 부처를 중심으로, 차단에 나서고 있습니다.문기혁 기자입니다.문기혁 기자>생성형 인공지능은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해주는 기술을 말합니다.'챗GPT'나 최근 중국이 내놓은 '딥시크' 등이 대표적입니다.하지만 정보 유출이나 신뢰...
-
폭풍으로 파괴된 이재민 텐트 [월드 투데이]
박유진 외신캐스터>월드투데이입니다.1. 폭풍으로 파괴된 이재민 텐트가자지구에 폭풍이 불어닥쳤습니다.이로 인해 이재민들이 머무는 텐트가 파괴되며 어려움이 가중됐는데요.폭풍이 몰아치며 겨울 추위는 더욱 심해졌고, 사람들은 밤새 잠을 이루지 못했습니다.이런 가운데 가자지구 주민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 지역을 점령하고 팔레스타인인들을 추방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
정부 부처 '딥시크' 등 생성형 AI 접속 차단
모지안 앵커>정부 부처들이 '딥시크' 등 생성형 AI 접속 차단 조치에 나섰습니다.외교, 안보, 통상 부처를 중심으로, 차단에 나서고 있습니다.문기혁 기자입니다.문기혁 기자>생성형 인공지능은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해주는 기술을 말합니다.'챗GPT'나 최근 중국이 내놓은 '딥시크' 등이 대표적입니다.하지만 정보 유출이나 신뢰성, 윤리성,...
-
정부 부처 '딥시크' 등 생성형 AI 접속 차단
모지안 앵커>정부 부처들이 '딥시크' 등 생성형 AI 접속 차단 조치에 나섰습니다.외교, 안보, 통상 부처를 중심으로, 차단에 나서고 있습니다.문기혁 기자입니다.문기혁 기자>생성형 인공지능은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해주는 기술을 말합니다.'챗GPT'나 최근 중국이 내놓은 '딥시크' 등이 대표적입니다.하지만 정보 유출이나 신뢰성, 윤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