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KTV 는 시청자 여러분의 의견을 프로그램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 프로그램에 대한 문의사항 작성 시 프로그램명과 방송일을 기재해 주시면 좀 더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 특정인을 비방하는 내용, 상업적 게시물 내용 등은 공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판소리의 유파[제(制)]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소리마당(소리마**)
등록일 : 2003.09.07 10:14
▣ 판소리의 유파[제(制)]
판소리가 전승되면서 전승 계보에 따라 음악적 특성에 차이가 생기게 되었
는데, 이를 제라고 한다. 제는 현존하는 실체라기보다는 다양한 판소리를
구 분하여 유형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관념적으로 구성되니 참조의 틀로 이
해해 야 할 것이다. 제에는 동편제(東便制),서편제(西便制),중고제(中高制)
가 있 다.

동편제(東便制)
송홍록.정춘풍.권삼득 등의 법제를 뼈대로 하여, 운봉.구례.순창.홍덕 등지
에서 이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지리적 구분은 후대에 와서 동.서 양쪽
가 객들이 서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큰 의의는 찾아 볼 수 없게 되었다. 우리
가 일상 대화에 있어서 호령을 한다거나 호걸스럽게 의사를 표시할 때에는
어세(語勢)가 강렬해지고 활발해지는데 판소리에서 이와 같은 흐름 으로 노
래한 유파가 동편제이다.
동편제는 통성과 우조를 중심으로 하며 대마디대장단을 위주로 장단을 짜
며, 감정을 절제하는 창법을 구사하는 소리이다. 또 동편제는 소리가 웅장
하고 가맥마다 힘이 들어있다. 또한 발성의 시작이 신중하며, 귀절의 끝마
침이 쇠망치로 끊듯이 명확하고 상쾌하며, 소리는 자주 붙이지 않고 쭈욱
펴 며, 계면조 가락을 많이 장식하지 않는다. 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서 동
편 제의 창법과 가장 잘 조화되는 것은 '적벽가'이다.
동편제의 근대명창으로는 권삼득,송홍록,박기홍,김세종,송만갑을 꼽을 수
있는데, 송만갑은 뒷날 서편제와 가까운 새로운 창법을 개척하여 족보에서
할명(割名)당했다. 이는 판소리 법통에서 유파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기
기 때문이다.

서편제
철종 때의 명창인 박유전에 의해 창시된 판소리 양대 산맥의 하나로, 광 주.
나주.보성.강진.해남 등지를 중심으로 이어져 왔는데, 이 지역이 전라도 서
쪽에 있다 하여 서편제라 일컬어지는 것이다.
서편제의 특징은 활달하고 우렁찬 동편제와 대조적으로 가창의 성색(聲色)
이 부드러우며 구성지고 애절한 느낌을 준다. 노래소리의 끝도 길게 이 어
져서 이른바 꼬리가 달렸으며, 부침새의 기교가 많고 계면조를 장식하여 정
교하게 부른다.
서편제의 창법과 잘 어울리는 창으로는 '심청가'를 꼽을 수 있다.
서편제의 명창으로는 박유전,김채만,이날치,정창업,김창환 등이 있다.

중고제
김성옥으로부터 시작되어 김정근.김창룡 등이 계승한 것으로 경기도 남부
와 충청도지역에 전승된 소리인데, 그 개념이 모호하여 '비동비서(非東非
西)'로 표현된다. 창법은 동편제와 서편제의 절충형인 듯하나, 소리의 특징
으로 보아 동편제에 속한다. 반음(半音)을 많이 쓰며, 음정은 단계적으로 치
켜 올라가고 있으므로 소리 끝은 동편제 소리와 같이 매우 드높다. 중고 제
의 명창으로는 염계달,김성옥,모홍갑,고소관,김제철,한송학,김석창,김정근
등이 있다.

강산제
서편제의 수령 박유전이 만년에 전남 보성군 강산리에서 여생을 보내며 창
시한 유파로, 체계가 정연하고 범위가 넓다. 박유전은 젊었을 때 고운 목 소
리와 뛰어난 기량으로 대원군의 총애를 받아 그의 사랑에 자주 드나들었 는
데, 그곳에 묵고 있는 많은 유생들과 친밀하게 지내게 되었다. 유생 중에
는 판소리에 대한 높은 견식과 일가견을 가진 이들이 있어, 그들이 피력한
조언을 바탕으로 창시한 것이 바로 강산제이다.
이 제의 특색으로는 서편제가 일반적으로 너무 애절한 것을 지양하고, 될
수 있으면 점잖은 가풍(歌風)을 조성하였고, 삼강오륜에 어긋나는 대목은
삭제 또는 수정하였다. 강산제의 대표적 판소리는 '심청가'이며 , 명창으로
는 박유전.정응민.정재근 등이 있다.

http://www.pansorimuseum.com/

프로그램내 인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