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풍 '볼라벤' 영향권...피해 속출
앞서 전해드린대로 초대형 태풍 '볼라벤'이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면서 전국 곳곳에서 피해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피해상황과 앞으로 어떠한 대비책이 필요한지 취재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박성욱 기자 먼저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태풍이 상륙한 제주지역 피해 상황 정리해보죠.
네, 제주지역에는 어제 자정쯤 서귀포 남서쪽 약 170km 부근 해상에 태풍이 도...
방송일자 : 2012.08.28
-
전국 대부분 유치원·초등학교 휴업
태풍 볼라벤의 영향으로 전국 대부분의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임시휴업에 들어갑니다.
서울 지역은 오늘 하루 출퇴근 지하철 집중배차 시간이 연장됩니다.
자세한 소식,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지수 기자, 자세한 소식 전해주시죠.
네, 초강력 태풍 '볼라벤'이 북상함에 따라 서울 지역의 모든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가 오늘...
방송일자 : 2012.08.28
-
철저한 태풍 대비가 '인재' 막는다
상륙중인 태풍 볼라벤은 그 위력이 과거 큰 피해를 줬던 태풍 매미, 곤파스와 견줄 정도입니다.
피해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사전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표윤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지난해 태풍 곤파스로 16명의 인명피해를 냈던 우면산 산사태, 허술한 대비가 피해를 키운 '인재'였단 논란은 1년이 지나도 여전합니다.
태풍 '볼라벤'의 피해를 막는 방법 ...
방송일자 : 2012.08.28
-
'가을태풍' 강력한 위력···이유는?
초대형 태풍 볼라벤의 강력한 위력에 큰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그 동안 우리나라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태풍은 대부분 가을에 찾아왔는데요.
가을태풍이 강력한 이유를 김현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2002년 루사와 2003년 매미, 2010년 곤파스 등 역대 우리나라에 가공할 위력을 행사한 태풍은, 모두 늦여름에서 초가을 사이 우리나라를 찾아왔...
방송일자 : 2012.08.28
-
'루사'·'매미'보다 강력한 태풍 '볼라벤'
태풍 '볼라벤'은 역대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 가운데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위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10여 년전 우리나라에 엄청난 피해를 준 태풍 '루사'와 '매미'의 악몽을 떠올리게 할 정도입니다.
김유영 기자입니다.
역대 태풍 가운데 가장 많은 인명을 앗아간 태풍은 지난 1936년 8월 발생했습니다.
당시엔 태풍이름을 정하지 ...
방송일자 : 2012.08.28
-
농어촌 태풍 피해 예방팀 긴급 파견
가뜩이나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 태풍 볼라벤으로 수확기를 앞둔 농작물에 큰 피해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현장 점검반을 급파하는 등 총력 대응 체제에 나섰습니다.
계속해서 강석민 기자입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북상 중인 태풍 볼라벤의 피해를 막기 위해, 과장급을 반장으로 하는 현장 점검반을 구성해 아홉개 도에 긴급 파견했습니다.
현장점검반...
방송일자 : 2012.08.28
-
굿모닝 지구촌
오키나와 관통한 태풍 '볼라벤' 피해 속출
방송일자 : 2012.08.28
-
대학 자율화 방안 발표 운영·건축 규제 완화
정부가 대학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학 자율화 추진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부터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대학 구조 개혁과 등록금 부담 완화 정책과 맞물려 교육의 질 제고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취재 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노은지 기자 어서오세요~
노은지 기자, 이번 발표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습니까?
네, 이번 대학 ...
방송일자 : 2012.08.28
-
"강제동원 증거없다"..."부인못할 역사적 사실"
노다 일본 총리가 일본이 위안부를 강제동원한 증거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깊은 실망감을 표시하면서 위안부 강제동원은 부인하지 못할 역사적 사실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연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는 어제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일본이 위안부를 강제동원한 증거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
방송일자 : 2012.08.28
-
軍, 예정대로 다음달 7일 독도방어훈련
군 당국은 다음달 7일부터 독도방어훈련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독도방어훈련은 연례적으로 실시하는 훈련"이라면서 "최근 한일관계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일부 있지만, 연례적으로 계획된 훈련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독도방어훈련은 다음달 7일부터 3박4일간의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
방송일자 : 2012.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