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군 복무기간 단축에 따른 숙련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올해 처음 유급지원병제를 도입했는데요.
오늘 그 첫주인공이 임관식을 가졌습니다.
최고다 기자가 우리나라 1호 유급지원병 김수천 하사를 만나고 왔습니다.
유급지원병제 전문하사 1호가 17보병사단에서 탄생했습니다.
주인공은 올해 스물 네 살의 김수천 병장.
2006년 1월 현역병으로 입대한 김 병장은 155mm 견인포 사수로 복무하다 지난해 11월 전문하사 선발시험에 응시해 당당히 합격한 것입니다.
입대 전부터 부사관 시험을 준비하는 등 직업군인의 꿈을 키워왔던 김 하사는 군 복무 중에도 틈틈이 전문하사 지원시험에 대비해왔습니다.
김 하사는 이제 자신이 복무했던 17사단 예하 비룡 포병대대에서 1년 6개월 가량 155mm 견인포 반장직을 수행하게 됩니다.
역사적인 1호 유급지원병인 만큼 각오도 남다릅니다.
유급지원병은 전투. 기술 숙련병과 첨단장비 전문인력 등 종류에 상관없이 병사로서의 의무복무기간이 끝나면 하사 계급이 부여돼 단기복무 부사관 신분이 됩니다.
국방부는 올해 2천명의 유급지원병을 시범운영한 뒤 매년 2천~3천명씩 점진적으로 늘려 2020년 이후에는 4만명선을 유지할 예정입니다.
올해에는 첨단전력병 1천400명과 전투. 숙련기술병 600명 등 유급지원병 2천명을 확보하는데 64억원의 예산이 배정됐습니다.
의무복무기간에 이어 최대 18개월을 추가 복무할 경우 받는 보수 총액은 퇴직금까지 포함해 총 2천240만원에서 3천320만원 수준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