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리콜 건수는 2천5백여 건으로 2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다만 리콜은 공산품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늘었는데, 특히 자동차 리콜이 22.4% 증가했습니다.
임보라 기자입니다.
임보라 기자>
지난해 리콜 건수는 2천537건으로 전년보다 9.8% 줄었습니다.
리콜 건수는 2022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했습니다.
유형별로는 리콜명령이 1천9건으로 37.8% 줄었습니다.
반면 자진리콜은 898건으로 30.3%, 리콜권고도 630건으로 25.8% 늘었습니다.
자발적 리콜이 증가한 건 오히려 기업 신뢰도 향상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전화 인터뷰> 최철 /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
"오히려 소비자들이 (자진리콜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거죠. 그래서 기업은 조금 더 능동적으로, 선제적으로 자발적인 리콜 조치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이 생기고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관련 법률별로는 주요 7개 법률에 따른 리콜이 전체의 96.5%를 차지했습니다.
이 가운데 화학제품안전법에 의한 리콜이 50.9% 줄어 전체 리콜 감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품목별로는 공산품이 1천180건으로 24.1% 줄었습니다.
반면 공산품을 제외한 모든 품목의 리콜이 늘었습니다.
특히 자동차는 399건으로 22.4% 증가했습니다.
지자체 리콜은 119건으로 85.9% 급증했습니다.
먹거리 상품과 관련한 리콜이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지난해 국내 유통이 차단된 해외 위해제품은 1만1천436건을 기록했습니다.
모두 해외에서 리콜 대상이거나 국내 안전성 조사 결과 위해성이 확인된 제품들입니다.
리콜과 관련한 자세한 정보는 소비자24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강은희)
KTV 임보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