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외국인 투자기업의 최고경영자들에게 우리나라 노동시장과 노동정책에 대해 물었는데요, 외국인 투자 활성화를 위해 새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노동정책으로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대를 꼽았습니다.
또, 차기 정부의 당면과제로는 임금안정과 규제 완화 등을 꼽았습니다.
이승아 기자>
한국경제의 또 다른 기둥이라고 불리 우는 외국인 투자기업은 모두 2천 4백 여 개.
국내 기업의 전체 매출액 중 외투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13%에 달합니다.
이제는 더 이상 외투기업을 빼놓고는 한국 경제를 이야기할 수 없는 시대가 온 셈입니다.
그렇다면 외국인 투자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은 우리나라의 노동환경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노사발전재단 부설 국제노동협력원이 지난해 12월 12일부터 보름 동안 국내 외국인 투자기업 CEO 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동관계 설문조사 조사결과에 따르면 새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노동 정책으로 절반에 가까운 44.5%가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대를 꼽았고, 노사협력 증진과 분쟁예방이 34.6%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또,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서는 새 정부가 임금 안정과 규제 완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외국인 투자 촉진을 위한 차기 정부의 당면 과제를 묻는 질문에서 32.5%의 외국인 투자기업 CEO들은 과도한 임금상승에 따른 비용 증가의 해소를 꼽았습니다.
다음으로 각종 행정 규제 완화가 28.9%, 고용 및 노사관계 안정이 19.3%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또, 노사관계의 안정을 위해서는 ''''법과 질서 유지를 통해 확고한 노사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는 의견이 47.6%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노사관계 패러다임 전환과 사회적 협의체제 강화'''', ''''양질의 일자리 확대를 통한 고용안정 정책 추진'''' 을 꼽았습니다.
한편,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45%의 외국인 투자기업의 CEO들은 우리나라 경제를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에 반해 올해보다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37.5%를 차지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들 기업의 세 곳 가운데 두 곳 꼴인 68.8%는 현재의 투자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밝혔고, 18.8%는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응답한 반면 투자를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10%에 그쳤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년간 우리나라의 노동환경에 대한 외국인 투자기업 경영자의
견해와 애로사항 등을 파악해 노동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것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