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한국인이 좋아하는 일자리는? -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 결과

노동포커스

한국인이 좋아하는 일자리는? -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 결과

등록일 : 2007.12.07

우리 국민들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는 어떤 걸까요?

노동부가 좋은 일자리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1/3이
좋은 일자리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임금을 꼽았습니다.

이승아 기자>

매년 반복되는 청년층의 취업난.

저마다 좋은 직장에서 자신들의 꿈을 펼치고자 부푼 꿈을 안고 대학 캠퍼스를 떠납니다.

하지만 막상 사회에 나와 보면, 이제껏 그려왔던 직장을 찾기가 쉽지만은 않습니다.

소위 근무 환경이 좋고, 임금이 높은 대기업에 입사하기 위해선 바늘구멍 같은 취업의 문을 통과해야 합니다.

반면, 상대적으로 근무 환경이나 조건이 열악한 중소기업은 늘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구직자들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구직자들이 대기업을 선호하는 까닭은 다름 아닌 일자리의 조건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좋은 일자리의 조건으로는 어떤 것들을 꼽을 수 있을까요?

노동부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0일부터 22일까지 사흘간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좋은 일자리를 구분하는 조건과 그 이유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좋은 일자리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임금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28.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근무환경과 복지후생 그리고 정년보장을 꼽았습니다.

또, 좋은 일자리가 되기 위한 최소한의 수입으로는 월 300만 원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4.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1.9%가 월 200만 원 이상이라고 응답했습니다.

그러나 희망사항과 현실은 명백하게 차이가 납니다.

한국 고용정보연구원이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3달간, 전국에 취업상태에 있는 만 15세 이상의 남녀 100,129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산업, 직업별 고용구조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취업자들의 월평균 소득은 191만 원 가량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렇듯 근로자들이 원하는 임금과 실질 임금은 많게는 100만원까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자신의 일자리를 좋은 일자리라고 생각하지 않는 이유로 임금이 적어서’ 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반면, 현재 자신의 일자리를 좋은 일자리라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일에 대해 만족하기 때문에’라는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임금은 좋은 일자리가 되기 위한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라고 분석됩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