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비정규직 보호법이 시행된 지 두 달 정도 됐는데요.

우리 사회의 큰 변화를 시도한 정책인만큼 시행 초기의 혼란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노동포커스에서는 비정규직법에 대해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의견들에 대해서 궁금증을 해소해 보는 시간을 마련했는데요.

<일과 사람, work & talk>에서 노동부 비정규직대책팀 정형우 팀장을 만나 봤습니다.

Q1> 비정규직 보호법이 시행된 지 두달 정도 지났는데요. 일부 기업들의 대량해고 사태들이 발생하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움직임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마음도 편하지만은 않은데요, 이에 대한 정부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Q2> 비정규직 보호법의 가장 큰 성과라고 할 수 있는 사실상의 정규직 근로자, 즉, ‘무기계약 전환자’들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무기계약 전환자가 되면 기간제법에 의해서 차별 구제 신청의 대상에서 제외가 되지 않습니까?

이런 부분에서 `오히려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의견도 있거든요?

Q3> 앞으로 비정규직 보호법의 적용 사업장이 점차적으로 확대될 계획입니다.

당장 내년이면 100인 이상 300인 미만의 사업장으로 확대 실시되는데요. 전체 비정규직의 93%가 중소기업에서 일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히려 비정규직 문제의 갈등이 더 커지는 것은 아닐까` 우려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그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Q4> 비정규직법이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만으로 해결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비정규직근로자와 정규직 근로자, 그리고 기업과 사회가 모두 함께 고민하고 풀어 나가야 할 문제는 아닐까 싶은데요.

마지막으로 비정규직법의 빠른 정착을 위해서 기업과 근로자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요?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