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 G8 확대정상회의 참석
폴란드 방문을 마친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새벽 G8 확대정상회의가 열리는 이탈리아
로마에 도착했습니다.
교황 접견을 시작으로 공식 일정에 돌입해, G8 확대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인데요,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
두번째 방문지인 이탈리아에 도착한 이명박 대통령은 우리시각으로 오늘 저녁
바티칸 교황청을 방문해 교황 베네딕토 16세를 예방합니다...
방송일자 : 2009.07.09
-
한·폴란드, LNG·방산 협력 강화
이에 앞서 이명박 대통령은 레흐 카친스키 폴란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간
현안을 논의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특히 LNG, 원전, 방위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는데요,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레흐 카친스키 폴란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경제협력 등
양국 현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폴란드가 오...
방송일자 : 2009.07.09
-
"한·EU FTA, 7~8월 최종 합의
우리나라와 유럽연합, EU와의 FTA 협상 타결이 막바지에 접어들었습니다.
유럽을 순방중인 이명박 대통령은 유로뉴스와의 인터뷰에서 7~8월 중에 최종합의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한·EU FTA 협상 타결이 임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유럽의 유력 뉴스전문채널인 유로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대략적인 내용은
합의 ...
방송일자 : 2009.07.09
-
아이돌보미 서비스, 수족구병도 지원
맞벌이 부부의 자녀를 돌봐주는 아이돌보미 서비스가 전염병에 대해서도 확대
지원됩니다.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병이 완치될 때까지 이용요금의 80%를 지원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입안이 헐고 손과 발, 얼굴 등에 발진이 생기는 수족구병은 주로 4월에서 6월
사이에 발생하는 가벼운 감염병으로 여겨졌지만 올해 상황은 심상치 않습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방송일자 : 2009.07.09
-
하나원 개원 10주년 기념식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적응을 돕기 위해 1999년 문을 연 하나원이 10주년을 맞았습니다.
그동안 만4천여명이 이곳을 다녀갔다고 하는데요, 개원 10주년 기념식이 어제
하나원 본원에서 열렸습니다.
2009년 6월 현재, 국내에 들어온 북한이탈주민은 모두 16,354명.
1999년도에 148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0년 사이에 무려 110배가 넘는 북...
방송일자 : 2009.07.09
-
하나원 10년, 처음 언론에 공개
하나원은 지난 10년 동안 내부가 거의 공개되지 않았는데요, 개원 10주년을 맞아
하나원 본원 내부가 처음으로 언론에 공개됐습니다.
하나원 본원은 총 7개 건물로 본관과 교육동, 생활동, 그리고 봉사관이 있습니다.
본관에는 정신과와 내과, 산부인과, 치과, 그리고 한방과 등 5개 과목을 진료하는
‘하나의원’이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탈북 과정에서...
방송일자 : 2009.07.09
-
홍석우 중기청장 "중소기업 처지에서 정책 지원"
정부당국의 주요 책임자를 만나 정책의 방향을 직접 들어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어려운 경제상황 속에 중소기업 지원을 책임지고 있는 홍석우 중소기업청장을
만나, 올해 상반기 성과와 하반기 운용방향에 대해 들어봅니다.Q1> 2009년은
중소기업에게 어떤 해였고 중기청이 역점을 두고 추진한 사업은 무엇인가요?
A1> 상반기에는 경제가 회복되면서 기업...
방송일자 : 2009.07.09
-
제주 무비자…국제행사·투자 활성화
국제행사나 투자유치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제주 무비자 방문이 1년간 시범 실시됩니다.
대상국가는 78개국으로 세계적 국제도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 제주 특별자치도의
경쟁력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오는 15일부터 요르단과 라오스 등 78개 국가를 대상으로 제주도 무비자 방문이
1년간 시범운영됩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
방송일자 : 2009.07.09
-
친환경 녹색연료 '목재펠릿'
친환경 연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목재연료인 ‘펠릿’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어제 서울 홍릉 수목원에서는 목재펠릿에 대한 정책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우리나라 에너지 수입률은 97%.
수입하는 에너지 대부분은 이산화탄소 주 배출원인 석탄과 석유 등 화석연료로
우리로서는 친환경 대체에너지 개발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
방송일자 : 2009.07.09
-
기후변화 대응, 범국가 협력체계 가동
이상기온과 같은 기후변화는 생태계 뿐 아니라 산업과 보건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칩니다.
관련기관들과의 협력체계를 통한 체계적 대응을 담당하는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가
문을 열었습니다.
때 이른 무더위와 예상치 못한 강풍.
이제는 이상 기후로 인한 생활 속의 변화가 그리 낯선 현상이 아닙니다.
문제는 기후변화가 한 분야가 아닌 여러 ...
방송일자 : 2009.07.09